巳月庚金
巳月庚金
四月庚金 長生於巳 巳內有戊 丙不鎔金 故不畏火炎 丙亦可作用 但先壬水 方得中和 故曰羣金生夏 喜用勾陳 次取戊土 丙火佐之 三者皆全 登科及第 卽透一二 亦非白丁
사월경금 장생어사 사내유무 병불용금 고불외화염 병역가작용 단선임수 방득중화 고왈군금생하 희용구진 차취무토 병화좌지 삼촌개전 등과급제 즉투일이 역비백정
……
巳月에 庚金일간이 장생(長生)하는 것은 월중(月中)에 戊土편인이 있어 역시 월중의 丙火칠살을 화살(化殺)하여 丙火가 金을 녹이지 못하므로 火가 뜨거워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丙火도 용신(用神)으로 취할 수 있지만, 壬水식신이 우선되어야 중화(中和)를 얻으므로 壬水를 먼저 취용한다. 다음으로 무리를 이룬 金비겁이 여름에 태어나면 구진(勾陳)인 戊土편인을 취하고 丙火편관으로 보좌한다. 따라서 壬水식신과 戊土편인과 丙火편관이 모두 있으면 과거 급제하고, 셋 중 한두 개가 투출하더라도 천한 신분은 되지 않는다.
或一派丙火 名曰假殺爲權 須不見壬制者 此人假作淸高 並無仁義 刑妻剋子 有壬制者 又主榮華 壬藏支者 有富貴之命 而無其實
혹일파병화 명왈가살위권 수불견임제자 차인가작청고 병무인의 형처극자 유임제자 우주영화 임장지자 유부귀지명 이무기실
……
巳月庚金 사주에 한 무리의 丙火편관이 있으면 이름하여 가살위권(假殺爲權)이라 한다. 이때는 모름지기 제살(制殺)하는 壬水식신을 보지 못하면 설령 戊土편인으로 화살(化殺)한다고 해도 화염토초(火炎土焦)로 火土가 편고(偏枯)해져 명주는 맑고 고결한 체하고 인의가 없으며 처자식을 형극하지만, 제살하는 壬水식신이 있으면 영화를 누린다. 그러나 壬水가 장간(藏干)에 있으면 부귀하다는 소리를 들어도 실속은 없다.
☞ ‘신강살천 가살위권(身强殺淺 假殺爲權), 비요즉빈 신쇠위귀(非夭則貧 身衰爲鬼)’ 즉, 일간이 신왕하고 칠살이 약하면 칠살이 정관으로 변하여 권위를 누리지만, 일간이 신약하면 정관은 일간을 치는 칠살로 변하여 요절하지 않으면 가난하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丙火칠살이 사령(司令)하는 巳月庚金 사주에 한 무리의 丙火칠살이 투출하여 칠살이 왕성한데도 칠살이 약한 가살위권을 언급하는 것은 엄격한 의미에서 가살위권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난 것이다.
或之成金局 變弱爲强 用丙無力 用丁方妙 故丁透者吉 無丁 無用之人 或丁出三四 煆制太過 其人奔波
혹지성금국 변약위강 용병무력 용정방묘 고정투자길 무정 무용지인 혹정출삼사 하제태과 기인분파
……
巳月庚金 사주의 지지가 巳酉丑 金비겁국을 이루면 약한 일간이 강하게 변한다. 이때 丙火편관을 쓰면 위력이 없고, 丁火정관을 써야 강한 庚金을 제련할 수 있다. 그러므로 丁火가 투출하면 귀하게 되고, 丁火가 없으면 쓸모없는 사람이다. 그러나 丁火가 서너개 투출하면 제련이 지나쳐서 분주하기만 할 뿐 파란이 많은 사람이다.
四月庚金 須用壬丙戊 但非拘執先後 宜分病用藥 妻子仝前
사월경금 수용임병무 단비구집선후 의분병용약 처자동전
……
巳月庚金 사주는 반드시 壬水식신과 丙火편관과 戊土편인을 사용하되 선후에 집착하지 말고 팔자의 병에 따라 약으로 사용한다. 용신에 따른 처자식의 구분은 辰月庚金과 같다.
劍戟成功 入火鄕而反害 金逢火已損 再見火必傷 庚辛火旺怕南方 逢辰巳之鄕 又爲榮斷
검극성공 입화향이반해 금봉화이손 재견화필상 경신화왕파남방 봉진사지향 우위영단
……
칼과 창으로 단련된 巳月庚金이 남방화지(南方火地)를 만나면 오히려 해가 되어 이미 상하는데, 재차 火를 만나면 반드시 손상된다. 火가 왕성한 사주의 庚辛金은 남방운을 꺼리지만, 회화생금(晦火生金)에 능한 辰土운과 金의 장생지(長生地) 巳火운에서는 영화를 누린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