辰月庚金
辰月庚金
三月庚金 戊土司令 戊生金之理 有埋金之憂 故先甲後丁 不用庚劈甲 三月之庚 土旺金頑 頑金宜丁 旺土須甲 乏甲不能立業 乏丁焉能成名 二者少一 富貴不眞 庚金無火 非夭則貧 身弱財多 富貴不久
삼월경금 무토사령 무생금지리 유매금지우 고선갑후정 불용경벽갑 삼월지경 토왕금완 완금의정 왕토수갑 핍갑불능입업 핍정언능성명 이자소일 부귀부진 경금무화 비요즉빈 신약재다 부귀불구
……
辰月庚金은 戊土편인이 사령(司令)하는 달에 있어 庚金이 생을 받기보다는 묻힐까 우려된다. 그러므로 먼저 소토(疏土)하는 甲木편재를 쓴 후에 庚金을 단련하는 丁火정관을 쓴다. 甲木을 쪼개는 庚金비견은 쓰지 않는다. 辰月庚金은 土는 왕성하고 金은 완고하다. 완고한 金은 마땅히 丁火로 단련하고, 왕성한 土는 甲木으로 소토해야 한다. 甲木편재가 부족하면 재물을 이룰 수 없고, 丁火정관이 부족하면 이름을 날릴 수 없다. 甲木과 丁火 둘 중 하나만 부족해도 부귀가 온전하지 않다. 辰月庚金에 火관살이 없으면 완고한 庚金을 단련하지 못해 요절하지 않으면 가난하다. 木재성이 많아 왕성한데 재성을 다스리는 庚金일간이 약한 재다신약(財多身弱)이면 부귀가 오래가지 못한다.
得丁甲兩透 不見比肩 科甲之命 但要好運相催 甲透丁藏 採芹拾芥 甲藏丁透 異路功名 丁甲俱藏 不受庚制 富中取貴 刀筆起家 有甲無丁 平常之輩 有丁無甲 迂儒腐儒 丁甲兩無 下賤之流
득정갑양투 불견비견 과갑지명 단요호운상최 갑투정장 채근습개 갑정정투 이로공명 정갑구장 불수경제 부중취귀 도필기가 유갑무정 평상지배 유정무갑 우유부유 정갑양무 하천지류
……
辰月庚金 사주에 丁火정관과 甲木편재가 투출하고 庚金비견이 없으면 과거 급제하는 사주이다. 단, 좋은 운이 와서 서로 도와야 한다. 甲木이 투출해도 丁火가 장간(藏干)으로 숨어 있으면 가난한 생활을 한다. 甲木이 장간으로 숨어 있고 丁火가 투출하면 과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공명을 얻는다. 丁火와 甲木 둘 모두 투출하지 않고 장간으로 숨어 있으면 庚金의 억제를 받지 않아 재물로 명예를 취하는 격으로서 도필(刀筆: 문서를 기록하는 하급관리)가 되어 집안을 일으킨다. 甲木이 있어도 丁火가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고, 丁火가 있어도 甲木이 없으면 세상 물정에 어둡고, 생각이 고리타분하고 융통성이 없는 무능한 선비이다. 丁火와 甲木 둘 다 없으면 하천한 사람이다.
或一甲 無丁 有丙 由行伍而得官職 須不見壬 癸 爲妙 或支成土局 無木 貧賤僧道 見乙 奸詐小人 或支成火局 癸水透 富貴 有丙丁出干 見壬制之 方吉 無制 殘疾之人
혹일갑 무정 유병 유행오이득관직 수불견임 계 위묘 혹지성토국 무수 빈천승도 견을 간사소인 혹지성화국 계수투 부귀 유병정출간 견임제지 방길 무제 잔질지인
……
辰月庚金 사주에 甲木편재가 하나 있고 丁火정관은 없으며 丙火편관이 있으면 군인으로 관직을 얻는데 이때는 반드시 壬癸水식상이 없어야 한다. 만약 지지에서 土인수국을 이루고 소토(疏土)하는 木재성이 없으면 가난하고 천한 중이고, 혹 甲木 대신 유약한 乙木을 보는 경우는 간사한 소인배에 불과하다. 만약 지지에서 火관살국을 이루고 癸水상관이 투출하면 부귀하고, 丙丁火관살이 투출하면 칠살(七殺)로 왕자편화(旺者偏化)되는데 이를 제살(制殺)하는 壬水식신이 있어야 비로소 길하고, 壬水가 없으면 잔병치레를 하는 사람이다.
用甲者 水妻木子 用丁者 木妻火子
용갑자 수처목자 용정자 목처화자
……
辰月庚金 사주가 甲木편재를 취용하면 水를 처로 삼고, 木을 자식으로 삼는다. 丁火정관을 취용하면 木을 처로 삼고 火를 자식으로 삼는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