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月庚金

 寅月庚金


正月庚金 木旺之際 有土皆死 不能生金 且金之寒氣未除 先用丙暖庚性 又慮土厚埋金 須甲疏洩 丙甲兩透 科甲顯榮 二者透一 亦有生監 丙藏甲透 異路功名

정월경금 목왕지제 유토개사 불능생금 차금지한기지제 선용병난경성 우려토후매금 수갑소설 병갑양투 과갑현영 이자투일 역유생감 병장갑투 이로공명

……

월의 庚金재성이 강한 때이므로 인수가 있어도 목극토(木剋土)로 재괴인(財壞印)되어 비겁을 생조할 수 없다. 그리고 초춘(初春)에는 아직 의 찬 기운이 남아 있으므로 먼저 丙火편관으로 庚金일간을 따뜻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丙火의 생을 받는 인수가 두터워져 오히려 庚金일간이 묻힐 수 있으므로 반드시 甲木편재로 소토(疏土)해야 한다. 따라서 丙火甲木이 모두 투출하면 과거 급제하여 높은 지위에 오르고 영화롭다. 둘 중 하나만 투출하여도 생원(生員)이나 감생(监生: 국자감의 학생)은 된다. 丙火는 지지의 장간(支藏干)으로 감춰져 있고 甲木이 투출하면 과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공명을 얻는다.

 

或柱中土多 甲透者貴 甲藏者富 庚出則否 或丁火出干 加以戊己而無水者 又主富貴 何也 寅中甲木 引丁有根 無水爲病 名官星有氣 財旺生扶 故以富貴推之 如火多則用土 用土者火妻土子

혹주중토다 갑투자귀 갑장자부 경출즉불 혹정화출간 가이무기이무수자 우주부귀 하야 인중갑목 인정유근 무수위병 명관성유기 재왕생부 고이부귀추지 여화다즉용토 용토자화처토자

……

寅月庚金 사주에 인수가 많을 때 甲木편재가 투출하면 귀하고, 지지에 감춰져 있으면 부자이고, 庚金비견이 투출하면 군비쟁재(群比爭財)가 되어 가난하다. 丁火정관이 투출하였을 때 화관생신(化官生身)하는 戊己土인수가 있으며, 丁火정관을 손상시키는 식상이 없으면 부귀하게 되는데, 이는 월의 장간(藏干) 甲木편재가 庚金일간이 벽갑인정(劈甲引丁)으로 丁火정관의 귀함을 이끄는 뿌리가 되어 재관인(財官印)이 소통하기 때문이다. 寅月庚金 사주에서 관살을 손상시켜 팔자의 병이 되는 식상이 없으면 이름하여 관살이 건전한 관성유기(官星有氣)’이고, 여기에 월령을 잡고 있어 왕성한 재성이 관성을 생부(生扶)하는 재왕생관(財旺生官)이 되어 부귀하다. 이때 왕성한 관살을 관인상생(官印相生)으로 인화(引化)하는 인수를 용신(用神)으로 삼으면 가 처이고 가 자식이다.

 

或支成火局 壬透 有根者 大富貴 無根者 小富貴 乏水者 殘疾之人

혹지성화국 임투 유근자 대부귀 무근자 소부귀 핍수자 잔질지인

……

寅月庚金 사주의 지지가 관살국이고 지지에 뿌리가 있는 유력한 壬水식신이 투출하면 유병유약(有病有藥)이 되어 크게 부귀하고, 壬水식신이 뿌리 없이 허투(虛透)하면 약효가 떨어져 부귀가 작다. 왕성한 관살을 제어하는 식상이 없으면 유병무약(有病無藥)이 되어 질병이 있다.

 

或木被金傷 無丙丁出制 支無丁火 此係平人 或丙遭癸困 無戊制者亦然

혹목피금상 무병정출제 지무정화 차계평인 혹병조계곤 무무제자역연

……

寅月庚金 사주의 재성이 비겁의 군겁쟁재(群劫爭財)로 손상되는데 왕성한 비겁을 제어하는 丙丁火관살이 투출하지 않고, 지지의 장간에도 丁火정관이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다. 혹은 丙火편관이 투출하여도 癸水상관을 만나 곤란할 때 癸水를 무계합(戊癸合)하여 제거하는 戊土편인이 없어도 역시 평범한 사람이다.

 

總之正月庚金 丙甲爲上 丁火次之 春金多火 不夭則貧 陽金最喜火煉 煆煉太過 反主奔流

총지정월경금 병갑위상 정화차지 춘금다화 불요즉빈 양금최희화련 하련태과 반주분류

……

寅月庚金 사주를 간략하면, 丙火甲木이 있어야 상급이고, 丁火는 그 다음이다. 봄날의 사주에 관살이 많으면 요절하거나 가난하다. 양금(陽金)庚金은 불로 제련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녹아내리는 용금(鎔金)이 되어 발전이 없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