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月庚金

 


此傷官格 制殺太過 入木火運 財旺生殺 大發

차상관격 제살태과 입목화운 재왕생살 대발

……

월에 己未 土인수가 친림(親臨)한 인수격(印綬格)으로서 시지에서 건록(建祿) 申金비견을 득록(得祿)하여 월지와 시지의 택묘(宅墓)를 모두 얻은 庚金일간이 신왕(身旺)하여 능히 水木火의 식재관(食財官)을 취할 수 있고, 이 중에서 연간 癸水상관과 시간 甲木편재가 투출하여 둘 중에서 용신을 삼는다.

연간 癸水는 일간과 떨어져 무정하고 절지(絶地) 巳火에 임하여 수화상충(水火相沖)으로 상하불협(上下不協)하고, 시간 甲木편재는 일간 옆에 첩신(貼身)하여 유정하고, 절지(絶地) 申金에 임하여 금목상전(金木相戰)으로 간지불화(干支不和)하지만, 일지 子水상관이 申子辰로 인화(引化)하여 절처봉생(絶處逢生)하므로 유력하다. 따라서 시간 甲木편재를 용신으로 삼아 상관생재(傷官生財)로 성격(成格)을 구하여 甲寅寅卯운에 크게 발전하였다.

원문에서는 이 사주를 상관격(傷官格)으로 보았고, 상관이 관살을 지나치게 제극하는 것이 병이 되는 중에 운이 木火재관으로 흐르면서 재왕생살(財旺生殺)水木火식재관이 소통하며 수화상제(水火相濟)하고, 土金인비와 水木火식재관이 배득중화(配得中和)하였으며, 신왕한 庚金일간이 능히 水木火식재관의 부귀를 취하여 크게 발전하였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팔자의 격국(格局)은 월령(月令)에서 취하는데, 未月의 정기(正氣) 己土정인이 투출하여 연월지에서 巳午未를 득지하여 유력한 인수격(印綬格)으로 논하는 것이 맞는데, 인수에 손상되는 상관격을 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또한, 火土관인이 왕성한 신왕사주로서 관살은 관인상생으로 신왕한 庚金일간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용신으로 취할 수 없다. 따라서 왕성한 火土를 조절하는 水木식재를 취하고, 癸水상관과 甲木편재가 투출하였으므로 상관생재(傷官生財)로 성격(成格)을 구하여, 甲寅, 乙卯재성운에 크게 발전하였다고 논하는 것이 타당하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