午月庚金

 午月庚金


五月庚金 丁火旺烈 庚金敗地 專用壬水 癸又次之

오월경금 정화왕렬 경금패지 전용임수 계우차지

……

월은 丁火정관이 왕성하고 맹렬한 庚金일간의 패지이므로 오로지 壬水식신을 쓰고, 다음으로 癸水상관을 쓴다.

 

壬透癸藏 支見庚辛 必然科甲 切忌戊己透干制水 則否 戊藏支內 不失儒林 或壬在支 有金生助 又得金神出干 明經之貴 或癸出帶辛 異路之榮

임투계장 지견경신 필연과갑 절기무기투간제수 즉부 무장지내 불실유림 혹임재지 유금생조 우득금신출간 명경지귀 혹계출대신 이로지영

……

午月庚金 사주에 한여름의 더위를 식히는 壬水식신이 투출하고 癸水상관은 감춰줘 있으며, 지지에서 庚辛金비겁을 보면 월 패지(敗地)의 약한 庚金일간을 돕고 壬水의 수원(水源)이 되어 마르지 않으므로 반드시 과거 급제한다. 그러므로 식상을 제극하는 戊己土인수가 투출하는 것을 극력 피한다. 그러나 戊土가 지지에 감춰져 있으면 학자로서의 신분을 잃지 않는다. 만약 壬水는 지지의 장간으로 있는데 壬水를 생조하는 이 천간에 투출하면 정작 용신 壬水가 투출하지 않아 유생(儒生) 신분의 작은 명예만 있을 뿐이다. 癸水가 투출하여 辛金의 생조를 받으면, 癸水壬水의 역량에 못 미치므로 과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공명을 이룬다.

 

或支成火局 乏水者 奔波之客 有壬癸制者 捐納之人 又見戊己透者則否 無壬癸制火者 又宜戊己出干補金洩火 庶不夭折孤貧

혹지성화국 핍수자 분파지객 유임계제자 연납지인 우견무기투자즉부 무임계제화자 우의무기출간보금설화 서불요절고빈

……

午月庚金 사주의 지지에서 관살국을 이루고 식상이 없으면 파란곡절이 많은 명이다. 壬癸水식상이 있어 관살을 제어하면 재물을 상납하여 벼슬을 얻는다. 그러나 戊己土인수가 투출하여 壬癸水식상을 제극하면 그렇지 않다. 午月庚金 사주에 관살을 제극하는 壬癸水식상이 없을 때 戊己土인수가 천간에 투출하여 화관생신 즉, 관살을 설기하여 庚金일간을 생조하면 요절하거나 외롭고 빈궁하지는 않다.

 

總之仲夏無水 必非上格 或一派木火 無傷 印 比劫 又作從殺而論

총지중하무수 필비상격 혹일파목화 무상 인 비겁 우작종살이론

……

午月庚金을 정리하면, 한여름의 뜨거운 열기를 식히는 식상이 없으면 상격(上格)이 아니다. 만약 한 무리의 木火재관이 있어 관살을 더욱 뜨겁게 하는데 제극하는 식상과 庚金일간을 돕는 土金인비가 없으면 종살격(從殺格)을 논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