辰月己土

 辰月己土


三月己土 正栽培禾稼之時 先丙後癸 土暖而潤 隨用甲疏 三者俱透天干 必官居黃閣 或三者透一 科甲定然 但要得地 却以庚金爲病

삼월기토 정재배화가지시 선병후계 토난이윤 수용갑소 삼자구투천간 필관거황각 혹삼자투일 과갑정연 단요득지 각이경금위병

……

辰月己土는 곡식을 재배하는 시기이므로 丙火정인으로 흙을 따뜻하게 한 다음 癸水편재로 흙을 촉촉이 적셔 윤택하게 하고, 甲木정관으로 丙火癸水를 소통시킨다. 천간에 丙火癸水甲木이 모두 투출하면 반드시 재상의 자리까지 오를 수 있다. 셋 중에 하나만 투출하여도 과거 급제할 수 있다. , 투출한 것은 장생(長生)이나 녹왕(祿旺)을 득지(得地)해야 하고, 반대로 庚金상관을 써서 水火를 소통시키는 甲木을 제거하고 己土일간을 설기하면 병이 된다.

 

或有丙甲無癸 亦可致富 但不貴顯 或有癸無丙甲 亦有衣衿 或有丙癸無甲 亦係才人 丙癸全無 流俗之輩

혹유병갑무계 역가치부 단불귀현 혹유계무병갑 역유의금 혹유병계무갑 역계재인 병계전무 유속지배

……

丙火甲木이 있으면 癸水가 없어도 부자가 될 수 있지만, 귀한 신분이 되어 이름을 떨치지는 못한다. 癸水가 있으면 丙火甲木이 없더라도 학생 신분은 될 수 있다. 丙火癸水는 있는데 甲木이 없으면 재주를 쓰는 사람이지만, 丙火癸水가 모두 없으면 甲木이 있은들 쓸 수 없어 떠도는 평범한 사람이다.

 

或一片乙木 無金制伏 貧而且夭也 妻子仝前

혹일편을목 무금제복 빈이차요야 처자동전

……

乙木칠살이 있을 때 식상으로 제복하지 못하면 가난하거나 요절한다. 용신에 따라 처자식을 보는 것은 卯月己土와 같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