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冬己土
三冬己土
三冬己土 濕泥寒凍 非丙暖不生 取丙爲尊 甲木參酌 戊土癸水不用 惟初冬壬旺 取戊制之 餘皆用丙丁 但丁不能解凍除寒 不能大濟
삼동기토 습니한동 비병난불생 취병위존 갑목참작 무토계수불용 유초동임왕 취무제지 여개용병정 단정불능해동제한 불능대제
……
겨울 己土는 논밭이 축축하고 차갑게 얼어 있어 햇볕 丙火정인으로 따뜻하게 하지 않으면 작물을 생산하지 못하므로 丙火정인을 중히 여기고, 土비겁이 중중할 때는 소토(疏土)하는 甲木정관을 참작해서 쓰며, 戊土겁재와 癸水편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단, 초겨울인 亥월에는 큰물인 壬水정재가 사령(司令)하므로 이를 조절하는 戊土겁재를 취하여 쓴다. 나머지 경우는 모두 丙丁火인수를 사용하지만, 丁火편인은 태양화(太陽火)인 丙火와 달리 차갑게 얼어 있는 己土를 녹이기에는 역량이 부족한 등촉화(燈燭火)이므로 木관살의 도움이 없으면 중히 쓸 수 없다.
或干透一丙 支藏一丙 加以甲透 科甲有准 卽藏丙無制 亦主衣衿 或多壬水 得戊透制之 此命安然富中取貴 不見戊土 富屋貧人 凡三冬己土 見壬水出干 爲水浸湖田 此人孤苦 若見火不孤 見土不貧
혹간투일병 지장일병 가이갑투 과갑유준 즉장병무제 역주의금 혹다임수 득무투제지 차명안연부중취귀 불견무토 부옥빈인 범상동기토 견임수출간 위수침호전 차인고고 약견화불고 견토불빈
……
겨울 己土의 천간에 丙火정인이 하나 투출하고, 지지의 장간에도 丙火가 하나 숨어 있고, 더하여 천간에 甲木정관이 투출하면 겨울에 실령(失令)한 丙火가 역량을 갖추어 조후(調候)와 억부(抑扶)를 아우르므로 과거 급제한다. 또한, 지지에 숨어 있는 丙火가 겨울 水의 제극을 받아 손상되지 않으면 최소한 학생 신분 정도는 된다. 혹, 壬水정재가 많으면 戊土겁재가 투출하여 제극해야 편안하게 부(富)와 함께 귀(貴)를 누릴 수 있다. 이때 戊土가 없으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어 부옥빈인(富屋貧人) 즉, 겉보이기에는 부자인 것 같아도 실제로는 가난한 사람이다. 무릇 겨울 己土 사주에 壬水정재가 투출하면 호수가 범람하여 밭이 잠기는 것과 같아 외롭고 고생하는 사람이다. 이때 조후하는 火인수가 있어 따뜻하게 하면 외롭지 않으며, 土비겁이 있어 왕성한 水재성을 조절하면 가난하지 않다.
或一派癸 不見比劫 此爲從財 反主富貴 雖不科甲 恩誥有之 若見比爭 平常人物 妻子主事 從財者 金妻水子 或一派戊己 取甲制木 甲透者富貴 或一片辛庚 須用丙火 還須丁火爲助 丙藏 富貴奇特之命
혹일파계 불견비겁 비위종재 반주부귀 수불과갑 은고유지 약견비쟁 평상인물 처자주사 종재자 금처수자 혹일파무기 취갑제목 갑투자부귀 혹일편신경 수용병화 환수정화위조 병장 부귀기특지명
……
겨울 己土가 한 무리의 癸水편재가 있고 土비겁이 없으면 종재격(從財格)이 되어 오히려 부귀하고 과거 급제를 못하더라도 발전한다. 만약, 土비겁이 있어 水재성을 두고 다툰다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어 평범한 사람이며, 이 경우 처자식이 가정의 경제를 이끈다. 겨울 己土가 종재격인 경우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다. 혹, 겨울 己土 사주에 한 무리의 戊己土비겁이 있으면 甲木정관을 취용하여 제극해야 한다. 따라서 甲木이 투출하면 부귀하다. 혹, 겨울 己土 사주에 辛庚金식상이 있으면 金水식재의 설기와 한기가 己土일간을 기진케 하고 얼어붙게 하므로 반드시 상관상진(傷官傷盡)하고 조후(調候)하는 丙火정인으로 따뜻하게 하며 丁火편인이 도와야 한다. 그러나 丙火가 투출하지 않고 지지의 장간(支藏干)으로 숨어 있으면 운세의 변화에 따라 부귀가 달라진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