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月己土
甲寅월에 寅卯辰 동방의 지전목국(支全木局)을 이루어 투출한 甲木정관이 왕자편화(旺者偏化)되어 살기(殺氣)를 띠는 살중신경(殺重身輕) 사주이다. 눈여겨 볼 것은 월지 寅의 지장간 戊丙甲이 모두 투출한 것이고 이 중 丙火정인과 戊土겁재가 왕성한 甲木정관의 살기로부터 신약한 己土일간을 방조(幇助)한다. 용신은 3寅木에서 장생(長生)하며 아직 丑월의 찬 기운이 머물고 있는 이른 봄을 조후(調候)하고,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기식상통(氣息相通)하여 화살생신(化殺生身)하는 시간 丙火이다.
자칫 목다화식(木多火熄)이 우려되므로 丙火를 생하는 木관살운과 설기하는 土비겁운은 별 도움이 안 된다. 오히려 용신 丙火와 己土일간이 득지하는 남방화지(南方火地)의 火인수운과 벽목인화(劈木引火)하는 金식상운이 길하다.
실제, 명주는 火인수의 丁巳운에 발전하였고, 戊午운에 丙火를 설기하는 戊土는 월간 甲木에 회두극(回頭剋)되고, 寅午戌 삼합을 반회(半會), 火인수국을 이루는 午운에 친지의 공방을 위탁경영하여 재물을 모았다. 己未운은 겁재운으로 용신 丙火인수를 설기하여 사업에 문제가 있었으나 월간 甲木이 己土를 합거(合去)하고, 未土는 남방화지(南方火地)의 계토(季土)로서 용신 丙火와 己土일간이 득지하여 큰 화(禍)는 없었다. 庚申운도 신약한 己土일간을 설기하는 상관운으로 불길하지만, 벽갑인화(劈甲引火, 劈木引火)로 목왕화약(木旺火弱)의 문제를 해결하여 문제가 없었다. <사주 출처: 사주첩경(四柱捷徑)>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