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金
論金
金以至陰爲體 中含至陽之精 乃能堅剛 獨異衆物 若獨陰而不堅 冰雪是也 遇火則消矣 故金無火煉 不能成器 金重火煉 執事繁難 金輕火重 煆煉消亡 金極火盛 爲格最精 金火全 名曰鑄印 犯丑字 卽爲損模 金火多名爲乘軒 遇死衰 反爲不利
금이지음위체 중함지양지정 내능견강 독이;중물 약독음이불견 빙설시야 우화즉소의 고금무화련 불능성기 금중화련 집사번난 금경화중 하련소망 금극화성 위명최정 금화전 명왈주인 범축자 즉위손모 금화다명위승헌 우사쇠 반위불리
……
金은 음(陰)에 이르는 체(體)이지만, 외음내양(外陰內陽)으로 양의 정기(精氣)도 품고 있어 견고하고 강하다는 점에서 홀로 다른 오행과 구별된다. 만약, 음의 성질만 가지고 있다면 견고하지 않은데 얼음과 눈이 그렇다. 얼음과 눈은 양의 성질이 없어 火를 만나면 녹아내려 사라져버린다. 그러므로 金은 火로 제련하지 않으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없다. 金기운이 강한데 이를 제련하는 火가 약하면 일을 추진하기 어렵고, 金기운이 약한데 제련하는 火가 강하면 金은 녹아내려 없어진다. 金과 火가 모두 왕성하면 정기(精氣)가 있는 최고의 격으로서 金火가 온전하면 쇳물을 부어 도장을 만드는 주인(鑄印: 관직에 들어감을 의미)격이라 한다. 주인격에 金의 묘고(墓庫)인 丑이 개입하면 거푸집이 망가지는 손모(損模)라 한다. 金火가 많으면 승헌(乘軒 : 벼슬아치가 되어 수레를 타는)격이 되어 사쇠(死衰)운을 만나면 좋지 않다.
木火煉金 成名銳而退速 純金遇水 逢富顯以贏餘
목화련금 성명예이퇴속 순금우수 봉부현이영여
……
木火로 庚金을 제련하면 쉽게 명예를 얻고 잃는다. 순수한 金 즉, 辛金이 水를 만나면 재물이 풍족해진다.
金能生水 水旺則金沈 土能生金 金多則土賤 金無水乾枯 水重則沈淪無用 金無土死絶 土重則埋沒不顯 兩金兩火 最上 兩金兩木 財足 一金生三水 力弱難勝 一金得三木 頑鈍自損 金成則火滅 故金未成器 欲得見火 金已成器 不欲見火 金到申酉巳丑 亦可謂之成也 運喜西北 不利南方
금능생수 수왕즉금침 토능생금 금다즉토천 금무수건고 수중즉침륜무용 금무토사절 토중즉매몰불현 양금양화 최상 양금양목 재족 일금생생수 역약난승 일금득삼목 완둔자손 금성즉화멸 고금미성기 욕득경수 금이성기 불욕견수 금도신유기축
……
金은 水를 생하지만 水가 많으면 金은 가라앉는다. 土는 金을 생하지만 金이 많으면 土가 얕아진다. 金에게 水가 없으면 건조하고 메마르지만, 水가 많아 金이 가라앉으면 쓸모없게 된다. 金은 土가 없으면 사절(死絶)되고, 土가 많으면 묻혀서 기운을 드러내지 못한다. 2개의 金비겁과 2개의 火관살이 있는 것이 최상의 조합이다. 2개의 金비겁과 2개의 木재성이 있으면 재물이 넉넉하다. 1개의 金비겁이 3개의 水식상을 생하느라 기력이 약해지면 이기기 어렵다. 1개의 金비겁이 3개의 水재성을 얻으면 우둔하고 결단력이 부족하여 손해를 자초한다. 金이 완성되면 火는 소멸되어야 하고, 金이 미완성이면 제련하는 火관살이 필요하다. 즉, 이미 金이 완성된 상태라면 火가 필요없다. 金이 申酉巳丑에 있으면 완성된 것으로서 火의 제련은 필요없고 水식상의 설기가 필요하여 운이 서북의 金水운으로 가는 것이 좋고, 남방의 火운으로 가는 것은 불리하다.
春金
生於春月 餘寒未盡 貴乎火氣爲榮 性柔體弱 欲得厚土輔助 水盛增寒 難施鋒銳之勢 木旺損力 有剉鈍之危 金來比助 扶持最妙 比而無火 失類非良
생어춘월 여한미진 귀호화기위영 성유체약 욕득후토보조 수성증한 난시봉예지세 목왕손력 유좌둔지위 금래비조 부지최묘 비이무화 실류비량
……
봄날의 金은 아직 찬 기운이 남아 있어서 火관살로 영화롭게 되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성질과 체질이 유약해서 유력한 土인수로 火관살을 인화(引化)하는 화관생신(化官生身, 官印相生)으로 도움을 받아야 한다. 水식상이 왕성하면 찬 기운이 더욱 강해져 金의 예리한 기운을 펼치기 어려우며, 木재성이 왕성하면 金의 기력이 손상되어 무뎌질 위험이 있으므로 金비겁이 와서 도와야 예리한 기운을 유지할 수 있다. 金비겁은 있는데 火관살의 제어가 없으면 좋지 않다.
夏金
夏月之金 尤爲柔弱 形質未具 尤嫌死絶 火多而却爲不厭 水盛而滋潤呈祥 見木而助鬼傷身 遇金而扶持精壯 土薄而最爲有用 土厚而埋沒無光
하월지금 우위유약 형질미두 우혐사절 화다이각위불염 수성이자윤정상 견목이조귀상신 우금이부지정장 토박이최위유용 토후이매몰무광
……
여름의 金은 매우 유약해서 형질을 갖추지 못하여 사절(死絶)되는 것을 더욱 꺼린다. 그러나 火관살이 많으면 오히려 걱정이 없으니 이는 巳午未 중의 戊己土인수가 왕성한 火관살을 관인상생(官印相生)으로 인화(引化)하여 유약한 金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왕성한 水식상이 더위를 식히며 金을 적셔 윤택하게 하면 길하고, 木재성이 생화(生火)하여 열기를 더하고 제토(制土)하면 왕성한 火관살이 유약한 金을 쳐서 몸이 상하고, 金비겁이 도우면 유약한 金의 정신이 강해진다. 土인수가 적당하여 관인상생이 이루어지면 여름의 金에게 가장 쓸모가 있지만, 土인수가 너무 왕성하면 金이 묻혀서 빛을 잃는다.
秋金
秋月之金 當權得令 火來煆煉 遂成鍾鼎之材 土多培養 反惹頑濁之氣 見火則精神越秀 逢木則琢削施威 金助愈剛 剛過則決 氣重愈旺 旺極則衰
추월지금 당권득령 화래하련 수성종정지재 토다배양 반야완탁지기 견화즉정신월수 봉목즉탁삭시위 금조유강 강과즉결 기중유왕 왕극즉쇠
……
가을의 金은 권력을 잡고 월령을 얻어 강하므로 火관살로 제련하면 종과 솥을 만들 수 있지만, 土인수가 많아서 金을 배양하면 너무 강해져서 오히려 완고하고 탁한 기운이 된다. 火관살을 보면 정신(情神)이 뛰어나고 수려하다. 木재성을 만나면 나무를 깎고 다듬어서 힘을 과시한다. 金비겁이 도와 가을의 金이 더욱 강해지면 강한 金을 더욱 강하게 하여 끊어지기 쉽다. 이는 강한 기운이 점점 왕성해지면서 극에 이르면 다시 쇠약해지는 이치이다.
冬金
冬月之金 形寒性冷 木多則難施琢削之功 水盛而未免沈潛之患 土能制水 金體不寒 火來助土 子母成功 喜比肩聚氣相扶 欲官印溫良爲利
동월지금 형한성랭 목다즉난시탁삭지공 수성이미면침잠지환 토능제수 금체불한 화래조토 자모성공 희비견취기상부 욕관인온량위리
……
겨울의 金은 형질은 차고 성정은 한랭하다. 따라서 木재성이 많으면 금극목(金剋木)으로 木을 다듬고 깎는 공을 베풀기 어렵고, 水식상이 왕성하면 金이 가라앉는 근심을 면할 수 없다. 土인수는 능히 水식상을 조절하고, 겨울의 金이 차지 않도록 火관살이 와서 土인수를 도와야 모자(母子)가 성공한다. 겨울의 金은 설기가 심하므로 金비견으로 도와야 좋고 火土 관인상생(官印相生)으로 따뜻하게 하면 이익이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