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夏己土
三夏己土
三夏己土 雜氣財官 禾稼在田 最喜甘沛 取癸爲要 次用丙火 夏無太陽 禾稼不長 故無癸曰旱田 無丙曰孤陰 或丙癸兩透 又可辛金生癸 此富貴之格 名水火旣濟 鼎甲之人 却忌戊癸化合 或有丙無癸 有壬亦可 但不大發
삼하기토 잡기재관 화가재전 최희감패 취계위요 차용병화 하무태양 화가부장 고무계왈한전 무병왈고음 혹병계량투 우가신금생계 차부귀지격 명수화기제 정갑지인 각기무계화합 혹유병무계 유임역가 단부대발
……
여름 己土는 잡기재관(雜氣財官)이며 곡식이 밭에 있다. 가장 좋은 것은 단비가 되어 내리는 癸水편재를 취하는 것이다. 다음은 태양 丙火를 취하는 것인데 여름 己土에 丙火가 없으면 곡식이 자랄 수 없다. 癸水가 없으면 가물이 든 메마른 밭이고 丙火가 없으면 볕이 안 드는 음지가 되어 곡식이 자랄 수 없다. 혹 丙火와 癸水 둘 모두 투출하고, 辛金식신이 癸水를 생하면 식신생재(食神生財)로 부귀하는 격이다. 이러한 격은 이름하여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루었다고 하며 장원 급제할 인물이다. 반대로 戊土가 癸水를 합으로 기반(羈絆)하는 것을 꺼리고, 혹, 丙火가 있고 癸水가 없을 때 壬水 역시 괜찮지만 크게 발전하지는 못한다.
或一派丙火烈土 加以丁火制辛 癸水無根 如七八月之間旱 則苗槁矣 此命孤苦零丁 或有甲木 又見丙火重重 無滴水解炎 亦孤貧到老
혹일파병화렬토 가이정화제신 계수무근 여칠팔월지간한 즉묘고의 차명고고령정 혹유갑목 우견병화중중 무적수해염 역고빈도로
……
한 무리의 丙火가 己土를 뜨겁게 달구는데 더하여 丁火가 辛金을 제극하여 癸水가 근원을 얻지 못하면 칠팔월의 가뭄으로 싹이 말라죽는 것과 같으므로 외롭고 가난하며 의지할 곳 없는 외톨이 신세이다. 또한 甲木이 있고 丙火가 많아 뜨거운데 이를 꺼줄 물이 없어도 늙도록 고독하고 가난하다.
如有壬水 又見庚辛 此又不作孤看 但恐目疾 心腎肝臟之災 若壬水有根 辛金得地 又非此而論 或壬癸並出 破火潤土 此人聰穎特達 富中取貴 又轉禍爲福也 用癸者 金妻水子 用丙者 木妻火子
여유임수 우견경신 차우부작고간 단공목질 심신간장지재 약임수유근 신금득지 우비차이론 혹임계병출 파화윤토 차인총영특달 부중취귀 우전화위복야 용계자 금처수자 용병자 목처화자
……
만약, 壬水가 투출하여 庚辛金을 보면 외롭다고 보지 않지만, 눈 질환이 염려되고, 심장이나 신장, 간장에 큰 병을 얻을까 두렵다. 만약, 壬水가 뿌리가 있고 辛金이 득지하여 金水가 유력하면 문제되지 않는다. 혹, 壬水와 癸水 둘 다 투출하여 火를 깨고 土를 적시면 총명하고 매우 걸출하여 재물로써 명예를 취하고 전화위복이 된다. 癸水를 취용하면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고, 丙火를 취용하면 木이 처이고 火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