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月戊土 · 丑月戊土
子月戊土 · 丑月戊土
十一二月嚴寒氷凍 丙火爲尊 甲木爲佐 丙甲兩透 桃浪之人 丙出甲藏 採芹食餼 丙藏甲出 佐雜前程 有丙無甲者 豪富 有甲無丙者 淸貧 丙甲全無 下流之造
십일이월엄한빙동 병화위존 갑목위좌 병갑량투 도랑지인 병출갑장 채근식희 병장갑출 좌잡전정 유병무갑자 호부 유갑무병자 청빈 병갑전무 하류지조
……
엄동설한의 子丑월은 丙火를 중하게 여기고 甲木으로 丙火를 보좌한다. 따라서 丙火와 甲木이 모두 투출하면 과거 급제하여 부귀하는 사람이고, 丙火만 투출하고 甲木이 감춰져 있으면 학생 신분으로 가난하게 관에서 주는 쌀로 연명하는 사람이고, 丙火는 감춰져 있고 甲木이 투출하면 잡무를 보좌하는 관리이고, 丙火가 있고 甲木이 없으면 권세가 있는 부자이고, 甲木이 있고 丙火가 없으면 청렴하고 가난한 사람이고, 丙火와 甲木이 모두 없으면 하천한 사람이다.
或一派丙火 加以丙透 運値火土 弱中復强 又一壬透干 主淸高榮祿 乏壬 僧道孤寒
혹일파병화 가이병투 운치화토 약중복강 우일임투간 주청고영록 핍임 승도고한
……
子丑월 戊土의 지지에서 무리를 이룬 丙火가 천간에 투출하고 火土운을 만나면 약한 戊土가 강해진다. 이때 壬水가 천간에 투출하면 청렴하고 고상하며 영화롭고 복록이 있다. 그러나 壬水가 부족하면 사주의 火土가 편왕해져 승도의 명으로서 외롭고 쓸쓸하다.
或一派水土寒滯 不見一丙 得一癸透月時 亦不失儒雅風流
혹일파수토한체 불견일병 득일계투월시 역불실유아풍류
……
子丑월 戊土 사주에 한무리의 水土가 차갑고 막혀 있는에 丙火가 없이 월이나 시에 癸水가 투출하더라도 무계합(戊癸合)으로 재래취아(財來就我)하므로 여전히 학자로서의 우아함과 풍류는 잃지 않는다.
或一派壬水 不見比劫 可作從財而論 卽有比劫 得甲出干 又主富貴 若寒土無丙 雖有甲木 亦是內虛外實之人
혹일파임수 불견비겁 가작종재이론 즉유비겁 득갑출간 우주부귀 약한토무병 수유갑목 역시 내허외실지인
……
子丑월 戊土 사주에서 壬水가 무리를 이루었는데 이를 막는 土비겁이 없으면 종재격(從財格)을 논한다. 그리고 土비겁이 있고 甲木이 투출하면 명주는 부귀하다. 만약 차가운 戊土일간이 丙火를 보지 못하면 비록 甲木이 있어도 역시 겉은 번지르르해 보여도 속 빈 강정에 지나지 않는다.
或二癸透月時 名爲爭合 終局勞碌之人 得一己出干制癸 反爲忠義之士 舍己從人而論 年月透辛金者 又屬土金傷官 異路功名可許 以金爲妻 水爲子
혹이계투월시 명위쟁합 종국로록지인 들일기출간제계 반위충의지사 사기종인이론 연월투신금자 우속토금상관 이로공명가허 이금위처 수위자
……
子丑월 戊土 사주의 연월에 두 개의 癸水가 월과 시에 투출하면 戊土일간과 합을 다투게 되어 고생하는 사람이다. 이때 한 개의 己土가 연간에 투출하여 쟁합(爭合)하는 월간 癸水를 제극하면 충직하고 의리 있는 사람으로 자기를 버리고 사람의 도리를 따른다. 연월에 辛金이 투출하면 토금상관(土金傷官)이 되어 다른 방법으로 공명을 이루며, 水를 용신(用神)으로 하기 때문에 금처수자(金妻水子) 즉,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