酉月戊土
酉月戊土
八月戊土 金洩身寒 賴丙照暖 喜水滋潤 先丙後癸 不必木疏
팔월무토 금설신한 뇌병조난 희수자윤 선병후계 불필목소
……
酉月戊土는 한가을의 차가운 金이 설기하여 戊土일간이 약하고 차다. 태양 丙火의 따뜻한 햇살이 비춰주는 것에 의지하고, 丙火의 조후(調候)로 조토(燥土)가 되어 戊土일간이 생금(生金)을 하지 못하므로 水가 적셔서 윤택하게 해주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丙火편인을 먼저 쓴 다음 癸水정재를 쓰고, 木관살로 둘 사이를 소통시킬 필요는 없다.
丙癸兩透 科甲中人 丙透癸藏 可許入泮 癸透丙藏 納資得官 若丙藏又無癸 卽多不透 此皆常人 癸丙全無 奔流之客
병계량투 과갑중인 병투계장 가허입반 계투병장 납자득관 약병장우무계 즉다불투 차개상인 계병전무 분류지객
……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출하면 과거에 급제하고, 丙火가 투출하고 癸水는 지지에 숨어 있어도 공부하는 학생 신분은 될 수 있다. 癸水가 투출하고 丙火가 지지에 숨어 있으면 재물을 바치고 벼슬자리를 얻는다. 만약, 丙火가 지지에 숨어 있는데 癸水도 없으며, 丙火와 癸水가 많아도 투출하지 못하고 지지에 숨어 있으면 모두 평범한 사람이다. 천간과 지지 어디에도 丙火와 癸水가 전혀 없으면 분주하게 돌아다니며 노력해도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이다.
或四柱皆辛 無丙丁 此名傷官格 爲人淸秀 卽不能拾芥 亦可武庠 一見癸水 富而且貴
혹사주개신 무병정 차명상관격 위인청수 즉불능습개 역가무상 일견계수 부이차귀
……
혹, 사주가 모두 辛金이고 丙丁火가 없는 경우 상관격(傷官格)이라 하며, 위인이 청렴하고 빼어나서 쉽게 부귀를 얻지 못하더라도 학교에 들어가 무예를 닦을 수는 있으며, 이때 한 개의 癸水를 보게 되면 상관생재(傷官生財)로 수기유행(秀氣流行)하여 부귀를 이룬다.
或支成水局 壬癸出干 此名財多身弱 愚懦無能 若天干有比劫分散財神 頗言衣食
혹지성수국 임계출간 차명재다신약 우나무능 약천간유비겁분산재신 파언의식
……
혹, 지지에서 수국(水局)을 이루고 壬癸水가 투출하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라 하며, 위인이 어리석고 나약하며 무능하다. 만약 천간에 비겁이 있어 득비리재(得比理財)로 일간을 도와 재성을 분산하면 의식(衣食)이 넉넉하다.
用神妻子同前 秋土生金極弱 須丙火丁火出干方妙
용신처자동전 추토생금극약 수병화정화출간방묘
……
용신(用神)과 처자(妻子)에 관련하여서는 申月戊土와 같다. 즉, 癸水를 취용하면 금처수자(金妻水子)이고, 丙火를 취용하면 목처화자(木妻火子)이다. 금왕절(金旺節)인 가을의 土일간은 金을 생하느라 왕성한 金식상에 설기되어 극도로 쇠약하므로 반드시 丙丁火인수가 천간에 투출해야 비로소 묘하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