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卯月戊土
寅卯月戊土
正二月卽有甲癸 若無丙除寒 如萬物生而不長 故無丙者 富貴艱辛 或有丙無甲癸者 名曰春旱 如萬物生而多厄 無甲癸者 一生勤苦 勞而無功 或一派丙火 有甲欠癸 先泰後否 或支成火局 不見壬癸 僧道孤貧 癸透者貴 壬透者富
정이월즉유갑계 약무병제한 여만물생이부장 고무병자 부귀간신 혹유병무갑계자 명왈춘한 여만물생이다액 무갑계자 일생근고 노이무공 혹일파병화 유갑흠계 선태후부 혹지성화국 불견임계 승도고빈 계투자귀 임투자부
……
寅卯월의 戊土 사주에 甲木칠살과 癸水정재가 있어도 丙火편인이 없어 차가운 기운을 해결하지 못하면 만물이 태어나도 성장하지 못하는 것과 같아 부귀하기 어렵다. 혹 丙火는 있는데 甲木과 癸水가 없으면 봄가물이 드는 것과 같아 만물이 태어나도 액(厄, 재앙, 불행)이 많다. 甲木과 癸水가 없으면 일생 동안 마음과 힘을 다해 아무리 노력해도 이루는 것이 없다. 혹 한 무리의 丙火가 있고, 甲木이 있는데 癸水가 부족하면 甲木칠살과 丙火편인의 살인상생(殺印相生)으로 처음은 좋을지 모르나 음양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나중은 흉하다. 혹 지지에서 화국(火局)을 이루었는데 壬癸水가 없으면 승도(僧道)로 고독하고 가난하다. 그러나 癸水가 투출하면 귀하고, 壬水가 투출하면 부자이다.
用水者要審水之多少 或一派甲木 無丙常人 得一庚透方妙 或支成水局 甲又出干 又有庚透 富貴雙全 或無庚金 又無比印 難作從殺 定主遭凶 不然 必爲盜賊 若日下坐午 不得善終
용수자요심수지다소 혹일파갑목 무병상인 득일경투방묘 혹지성수국 갑우출간 우유경투 부귀쌍전 혹무경금 우무비인 난작종살 정주조흉 불연 필위도적 약일하좌오 부득선종
……
寅卯월의 戊土 사주에서 水재성을 사용할 때는 水의 많고 적음을 살펴야 한다. 혹 한 무리의 甲木칠살이 있고 화살(化殺)하는 丙火편인이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지만, 甲木을 제살(制殺)하는 庚金식신이 하나 투출하면 비로소 팔자의 짜임새가 오묘해진다. 혹 지지에서 수국(水局)을 이루고 천간에 甲木과 庚金이 같이 투출하면 부귀가 온전하다. 혹 제살하는 庚金식신이 없고 戊土일간을 돕는 火土인비가 없어도 종살격(從殺格)이 되기 어려우면 흉한 일을 당하지 않으면 반드시 도적이 된다. 만약, 戊土일간이 일지 午火 위에 임하면 천수(天壽)를 누리지 못한다.
或一派乙木 爲官殺會黨 卽有庚從 却難制乙 此人內奸外直 口是心非 加一甲在內 無庚 必懶惰自甘 好食無厭 或丙多甲多 宜以癸庚參用
혹일파을목 위관살회당 즉유경종 각난제을 차인내간외직 구시심비 가일갑재내 무경 필라타자감 호식무염 혹병다갑다 의이계경참용
……
寅卯월의 戊土 사주에서 한 무리의 乙木정관이 있으면 득령(得令)한 木관살이 무리를 이룬 것으로서 庚金이 있어도 실령(失令)하여 왕성한 乙木이 쇠약한 庚金을 따르지 않아 을종경금(乙從庚金)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乙木을 제어하기 어렵다. 이 경우 위인이 속은 간사하지만 겉보기에는 정직해 보이고, 하는 말과 속마음이 다르다. 더하여 甲木칠살이 하나가 장간(藏干)으로 숨어 있고, 庚金식신도 없으면 제살(制殺)이 이루어지지 않아 필시 게으르고 스스로 만족하며, 자아도취하고, 먹기를 좋아하며 욕심이 많아 만족할 줄을 모른다. 혹 丙火와 甲木이 많으면 癸水와 庚金을 참조하여 사용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