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四季土
論四季土
辰戌丑未 四土之神 惟未土爲極旺 何也 辰土帶木氣剋之 戌丑之土 帶金氣泄之 此三土雖旺而不旺 故土臨此三位 金多作稼穡格 不失中和 若未月土 則帶火氣也 帶火以生之 所以爲極旺也 若土臨此旺未月 見四柱土重 多作火炎土燥 不可作稼穡格 但臨此月之土 見金結局者 不貴卽富也 書曰 土逢季月見金多 終爲貴論 而在未月尤甚
진술축미 사토지신 유미토위극왕 하야 진토대목기극지 술축지토 대금기설지 차삼토수왕이불왕 고토림차삼위 금다작가색격 불실중화 약미월토 즉대화기야 대화이생지 소이위극왕야 약토림차왕미월 견사주토중 다작화염토조 불가작가색격 단림차월지토 견금결국자 불귀즉부야 서왈 토봉계월견금다 종위귀론 이재미월우심
……
辰戌丑未 넷 모두 土이지만 유독 未土가 매우 왕성하다. 어째서인가? 辰은 봄의 계토(季土)로서 장간(藏干) 乙木의 극을 받고, 戌丑은 가을 계토(季土)이며 금고(金庫)로서 장간 辛金이 설기하므로 辰戌丑 3土가 비록 왕성해도 온전히 왕성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辰戌丑 3土가 모두 제자리에 임하여 왕성하고, 왕성한 土의 기운을 설기하는 金이 많으면 가색격(稼穡格)으로서 중화(中和)를 잃지 않는다. 未월의 土는 화기(火氣)를 머금은 조토(燥土)로서 장간 丁火의 생을 받아 매우 왕성하다. 이렇듯 토기(土氣)가 매우 왕성한 未월에 또 토기(土氣)가 임하면 대다수가 화염토조(火炎土燥)가 되어 가색격(稼穡格)이 될 수 없다. 단, 未월의 土가 금국(金局)을 이루면 명예와 부 둘 중 하나는 이룬다. 책에서 이르기를 “土가 辰戌丑未 계월(季月)을 만나고 金이 많으면 귀하게 되고, 그중에서도 未월은 더욱 귀하다.” 하였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