春土, 夏土, 秋土, 冬土

 春土

生於春月 其勢虛浮 喜火生扶 惡木太過 忌水泛濫 喜土比助 得金而制木爲祥 金太多仍盜土氣

생어춘월 기세허부 희화생부 악목태과 기수범람 희토비조 득금이제목위상 금태다잉도토기

……

봄날의 는 기세가 공허하여 떠 있는 것과 같으니 생하는 가 도와주는 것을 좋아하고, 극하는 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싫어하고, 가 범람하여 유실되는 것을 싫어하고, 비겁이 도와주는 것을 좋아한다. 을 제어하는 을 얻으면 좋지만, 이 지나치게 많으면 의 기운을 훔쳐가므로-심하게 설기하여- 흉하다.

 

 

夏土

夏月之土 其勢燥烈 得盛水滋潤成功 忌旺火煆煉焦坼 木助火炎 水剋無碍 金生水泛 妻財有益 見比肩蹇滯不通 如太過又宜木剋

하월지토 기세조열 득성수자윤성공 기왕화하련초탁 목조화염 수극무애 금생수범 처재유익 견비견건체불통 여태과우의목극

……

여름날의 의 기운을 받아 메마르고 왕성하므로 충분한 를 얻어 적시고 윤택하게 해야 공()을 이룰 수 있다. 뜨거운 의 열기에 가 그을리고 갈라지는 것을 꺼린다. 를 뜨겁게 불태울 때는 로써 를 극하는 것은 문제되지 않고, 이 생하여 마르지 않는 가 가득하면 처복과 재물복이 있다. 비견(比肩)을 만나 가 중첩되면 의 흐름이 막히므로 가 너무 많을 때는 으로 소토(燒土, 木剋土)해야 한다.

 

 

秋土

秋月之土 子旺母衰 金多而耗盜其氣 木盛須制伏純良 火重重而不厭 水泛泛而不祥 得比肩則能助力 至霜降不比無妨

추월지토 자왕모쇠 금다이모도기세 목성수제복순량 화중중이불염 수범범이불상 득비견즉능저력 지상상불비무방

……

가을날의 는 자식인 은 왕성하고, 어미인 는 쇠약하다. 따라서 설기하는 이 많으면 쇠약한 의 기운을 훔쳐가 거덜낸다. 쇠약한 가을날의 를 극하는 이 왕성하면 모름지가 으로 제복해야 좋다. 쇠약한 가을날의 을 생하는 가 중중한 것은 괜찮지만 가 많아서 재다신약(財多身弱)으로 가 유실되면 안 좋으므로 비견(比肩)으로 도와 득비리재(得比理財)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강(霜降)이 지나면 가 강하므로 비견이 없어도 된다.

 

 

冬土

冬月之土 外寒內溫 水旺財豊 金多子秀 火盛有榮 木多無咎 再加比肩扶助爲佳 更喜身主康强足壽

동월지토 외한내온 수왕재풍 금다자수 화성유영 목다무구 재가비견부조위가 경희신주강강족수

……

겨울날의 는 안으로 양기를 품고 있어 밖은 차갑지만 안은 따뜻하다. 재성이 왕성하면 재물이 풍부하고, 식상이 많으면 자식이 빼어나고, 인수가 왕성하면 영화롭고, 관살이 많아도 허물이 되지 않는다. 여기에 비견이 도우면 아름다운데 쇠약한 일간이 강해지므로 족히 장수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