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土_戊己

 論土_戊己

 

五行之土 散在四維 故金水木火 依而成象 是四時皆有用有忌者 火 死酉也 水 旺子也 蓋土賴火運 火死則土囚 土喜水財 水旺則土虛 土得金火 方成大器 土高無貴 空惹灰塵 土聚則滯 土散則輕

오행지토 산재사유 고금수목화 의이성상 시사시개유용유기자 화사유야 수 왕자야 개토뢰화운 화사즉토수 토희수재 수왕즉토허 토득금화 방성대기 토고무귀 공야회진 토취즉체 토산즉경

……

오행은 구궁(九宮)의 중앙에 위치하고, 사유(四維)-서북(), 서남(), 동북(), 동남()-의 네 귀퉁이에 기생하면서 다른 오행 金水木火에 의지하여 형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계절 모두에서 사용될 수도 기피될 수도 있어 일정한 사용법이 없다. 십이운성(十二運星)으로 볼 때 오행은 유궁(酉宮)이 사지(死地)이고, 오행은 자궁(子宮)이 왕지(旺地)이고, 대체로 오행은 의 운행에 의지하는데,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로 볼 때 의 자리에서 사(, 水剋火)하면 는 수(, 土剋水)한다. 를 재성으로 삼아 좋아하지만, 가 너무 왕성하면 가 유실되어 공허해진다. 의 생조를 받으면서 으로 설기하면(火生土, 土生金) 무릇 큰 그릇이 될 수 있지만, 가 너무 왕성하면 귀하게 되지 못하고 헛되이 재와 먼지가 되어 흩어지는 것과 같으니 가 모이면 막히고 흩어지면 경박해진다.

 

辰戌丑未 土之正也 分陰分陽 主則不同 辰有伏水 未有匿木 滋養萬物 春夏爲功 戌有藏火 丑有隱金 秋火冬金 肅殺萬物 土聚辰未爲貴 聚丑戌不爲貴 是土愛辰未 而不愛丑戌也明矣

진술축미 토지정야 분음분양 주즉부동 진유복수 미유닉목 자양만물 춘하위공 술유장화 축유은금 추화동금 숙살만물 토취진미위귀 취축술불위귀 시토애진미 이불애축술야명의

……

에는 辰戌丑未가 있고, (, 丑未)과 양(, 辰戌)으로 나뉘므로 라고 해서 모두 같지는 않다. 辰土癸水를 머금은 수고(水庫)이고, 未土을 품은 목고(木庫)로서 만물을 길러내며 각각 봄과 여름에 공을 이룬다. 戌土를 감추고 있는 화고(火庫)이고, 을 숨기고 있는 금고(金庫)로서 가을의 와 겨울의 은 만물을 말려 죽인다. 따라서 辰土未土가 모여 있으면 귀하지만, 丑土戌土가 모여 있으면 귀하지 않다. 이는 辰未를 좋아하고 丑戌을 좋아하지 않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若更五行有氣 人命逢之 田産無比 晩年富貴悠悠 若土太實無水 燥則不和 無木則不疏通 土見火則焦 女命多不生長

약경오행유기 인명봉지 전산무비 만년부귀유유 약토태실무수 조즉불화 무목즉불소통 토견화즉초 여명다불생장

……

오행의 기운이 사주에 두루 작용하면 밭에서 경작하여 거두는 수확물에 비할 바가 아니며 만년까지 크게 부귀를 누린다. 만약 가 너무 많은데 가 없어 를 적시지 못하면 건조해져 서로 화합하지 못하고, 를 헤치는 이 없으면 소통이 안 되고, 를 만나면 검게 그을려 황폐해지므로 여자인 경우는 대부분 자식을 낳지 못한다.

 

土旺四季 惟戌土困弱 戌多爲人好鬪 多瞌睡 辰未人好食 丑人淸省 丑爲艮土 有癸水能潤而膏 人命遇此 主能卓立

토왕사계 유술토곤약 술다위인호투 다갑수 진미인호식 축인청성 축위간토 유계수능윤이고 인명우차 주능탁립

……

는 사계(四季)辰戌丑未월에 왕성하다. 오직 戌土만 곤란하고 약한데, 戌土가 많으면 사람됨이 다투기를 좋아하고 잠이 많다. 辰土未土가 있으면 먹는 것을 좋아하고, 丑土가 있으면 심성이 맑고 성찰하는 사람이다. 은 간궁(艮宮)에 있는 로서 장간(藏干)癸水를 품고 있어 윤택하고 기름지므로 사주에서 丑土가 제역할을 하면 출중한 인물이 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