午月丁火
午月丁火
五月丁火 時歸建祿 不宜亂用甲木 遇年透隔位之壬 不貪丁合者 忠而且厚 或支成火局 干見火出 得庚壬兩透者 科甲定然 土透制壬 常人 卽壬藏支中 亦非白丁 但要運行西北 方可發達 得一癸透 名獨殺當權 出人頭地
오월정화 시귀건록 불의난용갑목 우년투격위지임 불탐정합자 충이차후 혹지성화국 간견화출 득경임양투자 과갑정연 토투제임 상인 즉윔장지중 역비백정 단요운행서북 방가발달 득일계투 명독살당권 출인두지
……
午月丁火는 시절이 건록(建祿)이므로 함부로 甲木정인을 써서는 안 된다. 떨어져 연간에 壬水정관이 투출하면 丁火일간과의 합을 탐하지 않고 용신(用神)으로서 역할을 하여 충직하고 후덕하다. 혹 지지에서 화국(火局)을 이루고 천간에 火가 투출하면, 火가 과열하므로 천간에 庚金과 壬水가 모두 투출하면 과거에 급제하는 것은 틀림없지만, 土식상이 투출하여 壬水정관을 제극하면 평범한 사람이다. 壬水정관이 지지에 숨어 있어도 하천한 신분은 아니지만 운이 서북의 金水로 흘러야 비로소 발달한다. 癸水칠살이 하나 투출하면 독살당권(獨殺當權)이라고 하여 우두머리가 되어 출세한다.
若見寅辰亥卯字 化木生火 平常人物 豊衣足食 中年富 但刑剋子息 勞而無功 或丙午月 丁未日 辛亥時 亥中有壬制丙 不致貧苦 若丙午時 則滴水難救炎火 必主僧道 若年支見子 雖不科甲 亦有衣衿
약견인진해묘자 화목생화 평상인물 풍의족식 중년부 단형극자식 노이무공 혹병오월 정미일 신해시 해중유임제병 불치빈고 약병오시 즉적수난구염화 필주승도 약연지견자 수불과갑 역유의금
……
만약 午月丁火 사주의 지지에 寅辰亥卯가 있어 동방목(東方木)과 삼합목(三合木)으로 합화(合化)하여 火를 생하면 평범한 사람으로 의식이 풍족하고 중년에 재물을 모으지만 자식을 형극(刑剋)하므로 애쓴 보람이 없다. 만약 丙午월 丁未일 辛亥시인 경우에는 亥 중의 壬水가 투출하여 탈재(奪財)하는 丙火를 제극하여 辛金재성을 보호하므로 빈곤에 이르지는 않지만, 丙午시가 되면 壬水로는 타오르는 불을 끌 수 없으므로 명주는 의지할 곳 없는 신왕무의(身旺無依)의 처지가 되어 필시 승도(僧道)이다. 만약 연지가 子水이면 비록 과거 급제는 못하더라도 학생 신분은 된다.
若干支無火局 有水透干 須用甲木 又要庚劈甲方明 木火通明 主大富貴 或水少火多 焚其木性 不能光透九霄 英華不久
약간지무화국 유수투간 수용갑목 우요경벽갑방명 목화통명 주대부귀 혹수소화다 분기목성 불능광투구소 영화불구
……
만약 午月丁火 사주의 간지에 火비겁이 없는데 水관살이 투출하면 모름지기 木인수를 쓸 것이며, 이때 庚金이 甲木을 쪼개어 丁火일간을 이끌어 밝히면 바야흐로 목화통명(木火通明)의 상(象)이 되어 명주는 크게 부귀한다. 혹 水가 적고 火가 많으면 丁火일간을 이끌어 밝히는 木이 타버려 丁火일간의 광채가 하늘 높이 이르지 못하므로 영화(英華)가 오래가지 못한다.
或生月是祿 之皆生旺合局 加以火出 無滴水解炎 乃身旺無依 孤貧之格 女必爲尼 卽運北地 反主凶危 用壬者 金妻水子 用甲者 水妻木子
혹생월시록 지개생왕합국 가이화출 무적수해염 내신왕무의 고빈지격 여필위니 즉운북지 반주흉위 용임자 금처수자 용갑자 수처목자
……
만약 丁火일간이 건록(建祿)인 午월에 태어나서 사지(四支)가 모두 생왕(生旺)으로 합하여 화국(火局)을 이루고, 火비겁이 투출하여 뜨거운 열기를 더하는데 식혀줄 水가 없으면 이는 명주(命主, 丁火일간)가 의지할 곳이 없는 신왕무의(身旺無依) 신세가 되어 외롭고 가난하다. 여자라면 반드시 비구니(比丘尼)가 될 팔자이며, 운이 북방수지(北方水地)로 가면 쇠신충왕왕신발(衰神沖旺旺神發)로 오히려 왕성한 화세(火勢)를 격동시켜 명주를 더욱 흉하고 위태롭게 한다. 壬水를 쓸 때는 金水를 각각 처자식으로 삼고, 甲木을 쓸 때는 水木을 각각 처자식으로 삼는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