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秋丁火
從財格 太守
종재격 태수
……
酉월에 실령(失令)한 丁火일간이 己丑土식신과 월령(月令)의 본기(本氣)인 辛金편재에 에둘려 과도한 식재(食財)의 설기로 기진하는데, 木인수의 도움이 없어 멀리 연간 丁火비견에 기대려 한다. 그러나 비록 丁火가 연지 未 중의 丁火에 통근(通根)하지만, 역시 未土의 본기(本氣)인 己土가 투출하여 일간과 연간의 두 丁火를 이간질하며 설기하고 다시 월지 酉金편재로 흐르므로 丁火일간이 연간 丁火비견에 기댈 수가 없다.
한편 시지 亥 중의 甲木정인의 생조에 의지하려고 해도 甲木을 쪼개어 丁火를 이끌어 밝힐 庚金정관이 없고, 일시지 亥子丑 삼합을 유취(類聚)하여 子水를 공협(控夾)하므로 亥 중의 甲木은 습목(濕木)이 되어 역시 丁火일간이 도움을 받기 어렵다.
월간과 일지의 己丑土가 회화생금(晦火生金)하고 월지 酉金의 건록(建祿)인 辛金편재가 투출하여 첩신(貼身)하므로 의지할 곳 없는 음일간(陰日干) 丁火가 기명종재(棄命從財)하는 명조(命造)이며, 土金 식상과 재성을 희용(喜用)한다.
일찍 戊申 土金운 이후 未午巳 남방의 火비겁운이 걸리지만, 일시지 丑亥가 설기하고 제극하며 메마른 未土를 적셔 생금(生金)하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특히, 乙巳운은 金의 장생지(長生地)로서 庚金을 품고 있는 巳火가 월일지와 巳酉丑 삼합(三合)을 성회(成會)하여 금국(金局)을 이루므로 亥 중의 甲木을 인통(引通)하여 벽갑인정(劈甲引丁)의 목화통명(木火通明)을 기대할 수 있다. 태수(太守) 벼슬을 하였다.
관점에 따라 재다신약(財多身弱) 사주로 접근하더라도 대운이 남동의 火木 신왕운(身旺運)으로 흘러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