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月丁火
未月丁火
六月之丁火 陰柔退氣 但値三伏生寒 丁弱極矣 專取甲木 壬水次之
육월정화 음유퇴기 단치삼복생한 정약극의 전취갑목 임수차지
……
未月丁火의 未월은 음화(陰火)로서 유약한 丁火가 물러나는 시기이자 삼복(三伏) 중에 찬 기운이 생겨나 丁火가 극도로 약해지는 시기이므로 오직 甲木정인을 취용하여 丁火일간을 돕고, 壬水정관으로 甲木을 돕는 것은 그 다음이다.
若得甲出天干 支成木局 見亥中之壬 爲木神有根 接引丁火 必然科甲 卽不見木局 支見壬水 雖不大貴 亦有凌雲之氣 無庚不妙
약득갑출천간 지성목국 견해중지임 위목신유근 접인정화 필연과갑 즉불견목국 지견임수 수불대귀 역유능운지기 무경불묘
……
未月丁火 사주에서 천간에 甲木이 투출하고 지지에서 목국(木局: 亥卯未)을 이루고 亥 중 壬水를 보면 목신(木神: 甲木)이 뿌리가 있는 것으로서 甲木이 丁火일간 가까이 접하여 丁火일간을 이끌어 밝히면 목화통명(木火通明)이 되어 반드시 과거 급제한다. 지지에서 목국(木局)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壬水를 본다면 비록 크게 귀하게 되지는 못해도 역시 기세가 있는 명이지만 甲木을 쪼개어 丁火를 이끌도록 돕는 庚金이 없으면 벽갑인정(劈甲引丁)으로 목화통명(木火通明)하는 묘리가 없다.
或支成水局 見水透干 則濕木性 不能引丁 必爲平常人 有甲透 有才幹 無刑傷 若無甲木 假名假利 或年月日時 皆一派丁未之類 此爲純陰 終無大用 用甲者 水妻木子
혹지성수국 견수투간 즉습목성 불능인정 필위평상인 유갑투 유재간 무형상 약무갑목 가명가리 혹년월일시 개일파정미지류 차위순음 종무대용 용갑자 수처목자
……
未月丁火 사주의 지지가 수국(水局)을 이루고 천간에 水가 투출하면 木은 물에 젖어 丁火일간을 이끌어 밝히지 못하므로 평범한 사람이다. 甲木이 투출하면 재간이 있고 형상을 겪지 않지만, 甲木이 없으면 명리(名利)가 모두 헛되다. 사주가 모두 丁未인 경우 간지의 火土가 모두 순음(純陰)으로 이루어지고 중화(中和)를 이루지 못해 결국은 크게 쓰이지 못한다. 甲木을 용신(用神)으로 하는 경우 水가 처이고 木이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