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月丁火
寅月丁火
正月丁火 甲木當權 乃爲母旺 非庚不能劈甲 何以引丁 姑用庚金
정월정화 갑목당권 내위모왕 비경불능벽갑 하이인정 고용경금
……
寅月丁火는 당령(當令)한 甲木정인이 권한을 가져 왕성하므로 庚金이 아니면 甲木을 쪼개어 丁火를 이끌 수 없다. 그러므로 寅月丁火는 庚金편관을 쓰는 것이 우선이다.
或一派甲木 無庚制之 非貧卽夭 或只一甲木 多見乙木者 必離鄕之客 焉問妻兒 或見甲乙 生庚子時 又主妻早子早 且可採芹
혹일파갑목 무경제지 비즉즉요 혹지일갑목 다견을목자 필리향지객 언문처아 혹견갑을 생경자시 우주처조자조 차가채근
……
寅月丁火 사주에서 甲木이 무리를 이루었는데 이를 제극(制剋)하는 庚金이 없으면 가난하거나 요절한다. 혹 甲木은 하나인데 乙木이 여럿이면 고향을 떠나 타향을 떠도는 신세인데 어찌 처자식 복을 언급하랴. 혹 甲乙木을 보고 庚子시에 태어나면 처자식을 일찍 보고, 반궁(泮宮: 國子監)에 입학할 수 있다.
得壬化木 弱極復生 合此必主大貴 但此化合 反以不見庚破格爲妙 或有庚金壬癸 得己土出干制之 此命不由科甲 亦有異途 或一派壬癸 不得寅時 又無庚金 必主窮困
득임화목 약극복생 합차필주대귀 단차화합 반이불견경파격위묘 혹유경금임계 득기토출간제지 차명불유과갑 역유이도 혹일파임계 부득인시 우무경금 필주궁곤
……
寅月丁火가 壬水를 얻어 木으로 변하면(: 丁壬合化木) 극도로 쇠약해진 기운이 다시 소생(蘇生)하는 것이며, 이렇게 합이 이루어지면 명주(命主)는 반드시 크게 귀하게 된다. 다만, 이처럼 정임합화목(丁壬合化木)의 합화격(合化格)이 이루어지면 반대로 화신(化神) 木을 극하여 격을 깨는 庚金이 없어야 묘하다. 혹, 庚金과 壬癸水가 있을 때 己土가 투출하여 壬癸水를 제어하면 과거 급제는 못하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벼슬길에 나선다. 또는 한 무리의 壬癸水가 있어도 생시(生時)가 寅이 아니면 화목(化木)이 안 되고, 庚金이 없으면 丁火를 이끌지 못해 명주(命主)는 반드시 궁핍하다.
或丁年 壬月 丁日 壬時 男主大貴 女則不宜 此格以土爲妻 金爲子 但子女艱難 女命合此 淫賤 刑夫剋子
혹정년 임월 정일 임시 남주대귀 여즉불의 차격이토위처 금위자 단자녀간난 여명합차 음천 형부극자
……
| 시 | 일 | 월 | 연 | |
| 壬 寅 | 丁 ○ | 壬 寅 | 丁 ○ | |
丁년 壬월 丁일 壬시의 구조이면 남자는 대귀(大貴)하지만 여자는 그렇지 않다. 이 사주는 정임합화목(丁壬合化木)의 화목격(化木格)으로서 화신(化神)의 관살(官殺) 金을 자식으로 보아 토처금자(土妻金子)이지만, 자식인 金은 丁火일간이 종화(從化)하려는 木의 기세를 역하므로 자녀를 양육하기 어렵다. 여명(女命)인 경우는 음란하고 천하며 남편과 자식을 형극(刑剋)한다.
或支火局 無滴水解炎 僧道之命 見甲出略可 總不可無水 水多亦不宜
혹지화국 무적수해염 승도지명 견갑출략가 총불가무수 수다역불의
……
寅月丁火 사주의 지지가 화국(火局)이고 火를 다스릴 水가 없으면 승도(僧道)의 명조(命造)이다. 甲木이 투출하는 것은 괜찮지만, 전반적으로 水는 반드시 있어야 하되 너무 많아서도 안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