巳月丙火
巳月丙火
四月丙火 建祿於巳 火勢炎炎 宜專用壬水 解炎威之力 成旣濟之功 如無壬水 孤陽失輔 難透淸光 得庚發水源 方爲有根之水 壬庚兩透 不見戊土 號曰湖水洋洋 廣映太陽 光輝顯著 文明之象 人合此格 不但科甲崢嶸 必有恩謚封塋 若不驗 必暗損陰德
사월병화 건록어사 화세염염 의전용임수 해염위지력 성기제지공 여무임수 고양실보 난투청광 득경발수원 방위유근지수 임경량투 불견무토 호왈호수양양 광영태양 광휘현저 문명지상 인합차격 부단과갑쟁영 필유은익봉영 약불험 필암손음덕
……
巳月丙火는 건록(建祿)인 巳를 득령(得令)하여 火의 기세가 뜨겁게 타오르므로 마땅히 壬水를 사용하여 누그려야 수화기제(水火旣濟)의 공을 이룰 수 있다. 壬水가 없는 丙火는 홀로 맑은 광채를 발할 수 없다. 巳월은 水의 절지(絶地)이므로 庚金으로 수원(水源)을 삼을 때 비로소 물의 근원을 얻게 된다. 壬水와 庚金이 모두 투출하고 戊土가 없으면 넓은 호수에 두루 태양빛이 퍼지며 밝게 빛나는 문명의 상으로서 과거급제하여 높은 지위에 오를 뿐만 아니라 사후에도 반드시 공덕을 칭송받는다. 이러한 징험이 없다면 필시 보이지 않게 음덕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或無壬水 癸亦姑用 見庚透癸 不富必貴 但心性乖僻 巧謀善辯 或壬癸俱無 愚頑之輩 火炎無制 僧道之流 不然 須防夭折
혹무임수 계역고용 견금투계 불부필귀 단심성괴벽 교모선변 혹임계구무 우완지배 화염무제 승도지류 불연 수방요절
……
巳月丙火 사주에 壬水칠살이 없으면 癸水정관이라도 사용한다. 庚金과 癸水가 투출하면 부유하지는 않더라도 반드시 귀하게 된다. 단지 壬水보다는 격이 떨어져 성격이 괴팍하고 교묘하게 계략을 꾸미며 언변이 좋다. 壬水와 癸水 모두 없으면 어리석고 완고하고, 丙火의 화염을 제어하지 못하면 중이 되거나 요절한다.
或一派庚金 不見比劫 有富無貴
혹일파경금 불견비겁 유부무귀
……
巳月丙火 사주에 한 무리의 庚金편재가 있고 火비겁이 없으면 신왕재왕(身旺財旺)하므로 부자는 되지만 귀하게 되지는 않는다.
或丙午日干 四柱多壬 不見戊制 名曰陰刑殺重 光棍之流 或支水局 加之重重壬透 一無制伏 盜賊之命 如見己土 下賤鄙夫 用壬者 金妻水子
혹병오일간 사주임다 불견무제 명왈음형살중 광곤지류 혹지수국 가지중중임투 일무제복 도적지명 여견기토 하천비부 용임자 금처수자
……
巳月의 丙火일간이 일지 午火에 임하고, 사주에 壬水칠살이 많은데 제살(制殺)하는 戊土식신이 없으면 음형살중(陰刑殺重)이라 하여 불량배의 사주이다. 만약 지지에서 수국(水局)을 이루고 천간에 壬水까지 투출하여 사주의 간지로 水의 세력이 넘치는데 이를 제어하는 土식상이 전혀 없으면 도적의 사주이다. 만약 土식상 중에서 양토(陽土)인 戊土 대신 음토(陰土)인 己土가 투출하면 기토탁임(己土濁壬)으로 호수인 壬水가 흙탕물이 되어 흙탕물 호수에 비치는 丙火일간의 빛인 수기(秀氣)가 흐려져서 신분이 천하고 어리석은 사람이다. 壬水를 용신(用神)으로 취하는 사람은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