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夏丙火
三夏丙火
三夏丙火 陽威性烈 專用壬水 若亥宮壬水無力 回剋洩氣故也 仍用申宮長生之水 方云富貴
삼하병화 양위성렬 전용임수 약해궁임수무력 회극설기고야 잉용신궁장생지수 방운부귀
……
여름(: 巳午未월)의 丙火는 열기가 매우 뜨거우므로 오로지 壬水칠살만 쓴다. 그런데 亥(: 戊甲壬) 중의 壬水는 戊土와 甲木의 극설교집(剋洩交集)으로 무력하므로, 戊土의 제극으로부터 庚金이 설토생수(洩土生水)하여 장생(長生)하는 申(: 戊壬庚) 중의 壬水를 쓸 때 비로소 부귀해질 수 있다.
四月耑用壬水 金爲佐 五月亦耑用壬 巳午月壬透者富貴 丁多 兼看癸水 六月壬水 但借庚金爲佐
사월단용임수 금위좌 오월역단용임 사오월임투자부귀 정다 겸간계수 유월임수 단차경금위좌
……
巳月丙火는 오로지 壬水칠살만 쓰고 金재성으로 봐좌하며, 午月丙火 역시 오로지 壬水칠살만 쓴다. 따라서 巳午월에 壬水가 투출한 사람은 부귀하다. 丁火가 많으면 壬水와 더불어 癸水를 보아야 하며, 未月丙火는 壬水를 쓰되 庚金으로 보좌해야 한다.
陽刃合殺 威權萬里 丁火羊刃太旺 正爲羊刃倒戈 無頭之鬼 丙火用壬 生旺坐實方好 忌壬水太多 名殺重身輕
양인합살 위권만리 정화양인태왕 정위양인도과 무두지괴 병화용임 생왕좌실방호 기임수태다 명살중신경
……
丙火일간의 양인(陽刃)인 午의 정기(正氣) 丁火가 투출하여 壬水칠살과 합하는 양인합살(陽刃合殺)은 위엄과 권세를 크게 떨치지만, 丁火양인이 너무 왕성해지면 양인의 범접할 수 없는 권위와 살기가 오히려 丙火일간을 겨누는 칼날이 된다. 丙火일간이 壬水칠살을 쓸 때는 壬水가 생왕(生旺)의 자리에 있어 유력한 것은 좋지만, 壬水가 너무 많아서 丙火일간은 신약하고 壬水칠살이 왕성한 소위 살중신경(殺重身輕)이 되는 것을 꺼린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