戌月丙火
戌月丙火
九月丙火 火氣愈退 所忌土晦光 必須先用甲木 次取壬水
구월병화 화기유퇴 소기토회광 필수선용갑목 차취임수
……
戌月丙火는 火의 기운이 점점 물러나므로 土식상의 설기로 빛이 어두워지는 것을 꺼린다. 그러므로 甲木인수로 丙火일간을 생조하는 것이 우선이고, 다음으로 壬水칠살로 빛이 퍼지게 돕는다.
甲壬兩透 富貴非凡 若無壬水 得癸透干 亦可 雖不科甲 異路功名 壬癸藏支 貢監而已 甲藏壬透 無庚破甲 可許秀才 或庚戊困了水木 定是庸才 無甲壬癸者 下格
갑임량투 부귀비범 약무임수 득계투간 역가 수불과갑 이로공명 임계장지 공감이이 갑장임투 무경파갑 가허수재 혹경무곤료수목 정시용재 무갑임계자 하격
……
甲木과 壬水가 모두 투출하며 부귀하고 비범하다. 만약 壬水가 없으면 癸水로 대신할 수 있지만, 과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공명을 이룬다. 이러한 壬癸水가 지지의 장간(藏干)으로만 있으면 재물을 내고 국자감의 학생이 되는 것에 불과하다. 甲木은 장간에 있고 壬水가 투출하고 甲木을 제극하는 庚金이 없으면 향시(鄕試)에 합격한 수재(秀才, 生員)는 될 수 있다. 만약 庚金과 戊土가 壬癸水와 甲木을 제극하면 평범한 사람(庸才)이고, 甲木과 壬水와 癸水가 없으면 하격(下格)이다.
或一派火土 雖不太旺 亦自燥矣 如不離鄕過繼 亦主奔流 加如以無庚辛壬癸出干 必爲夭命 或支成火局 炎上失時 若運入南方 一貧徹骨
혹일파화토 수불태왕 역자조의 여불리향과계 역주분류 가이무경신임계출간 필위요명 혹지성화국 염상실시 약운입남방 일빈철골
……
戌月丙火 사주에 한 무리의 火土가 있으면 태왕(太旺)하지 않더라도 건조하고 메마른 火土가 편고(偏枯)해져 고향을 떠나 입양되지 않으면 떠돌며 방랑하게 될 것인데, 더하여 천간에 庚辛金과 壬癸水마저 없으면 반드시 요절한다. 혹 지지가 화국(火局)이면 火의 기운이 물러나는 戌월에 염상격(炎上格)이 때를 만나지 못한 화염토조(火炎土燥)의 상이 되어 남방운에 들어서도 한평생 뼈에 사무치는 가난을 벗어날 수 없다.
用甲者 水妻木子 用壬者 金妻水子
용갑자 수처목자 용임자 금처수자
……
戌月丙火 사주에서 甲木을 용신으로 하면 水가 처이고 木이 자식이며, 壬水를 용신으로 하면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