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月丙火
未月丙火
六月丙火退氣 三伏生寒 壬水爲用 取庚輔佐
유월병화퇴기 삼복생한 임수위용 취경보좌
……
6월은 丙火가 물러나는 퇴기(退氣)이고, 삼복 더위 중에 차가운 기운이 생겨나지만, 未월은 화염조토(火炎燥土)이므로 壬水칠살을 사용하고 庚金재성으로 보좌한다.
庚壬兩透 貼身相生 可云科甲名宦 若無庚有壬 不見戊出 小富小貴 見戊制壬則爲鄕賢而已
경임량투 첩신상생 가운과갑명환 약무경유임 불견무출 소부소쉬 견무제임즉위향현이이
……
未月丙火 사주에 庚金과 壬水가 丙火일간을 끼고 투출하여 상생하면 과거에 급제하여 고위 요직의 벼슬을 하고, 庚金이 없이 壬水만 투출하고 戊土가 없으면 부귀가 작다. 戊土가 있어 壬水를 제극하면 촌구석에서 현명하다는 소리만 들을 뿐이다.
或己土出干混雜 此必庸夫俗子 或壬水淺 己土出干 其人貧困 無壬下格 賤而且頑 男女一理
혹기토출간혼잡 차필용부속자 혹임수천 기토출간 기인빈곤 무임하격 천이차원 남녀일리
……
己土가 투출하여 戊土와 섞여 혼잡하면 기토탁임(己土濁壬) 즉, 壬水를 탁하게 하여 졸렬하고 세속적인 사람이다. 혹 壬水가 얕은데 己土가 투출한 사람은 빈곤하고, 壬水가 없으면 하격(下格)이 되어 천하고 우둔한 사람이며, 남녀가 같은 이치이다.
或天干一派丙火 陽極生陰 干支兩見庚壬 登科及第
혹천간일파병화 양극생음 간지량견경임 등과급제
……
未月丙火 사주의 천간에 한 무리의 丙火가 있는 경우, 양(陽)이 극(極)에 이르면 음(陰)이 생기므로 사주의 간지에서 庚金과 壬水를 보면 과거에 급제한다.
總之六月丙火用壬 不同餘月用壬 喜運行西北 六月用壬 喜運行西南
총지육월병화용임 부동여월용임 희운행서북 육월용임 희운행서남
……
정리하면, 未月丙火에 壬水를 쓰면 庚金이 본기(本氣)인 서남의 申金운으로 가는 것이 좋지만, 다른 달에서 壬水를 쓰면 서방과 북방의 金水로 가는 것이 좋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