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月丙火

 寅月丙火

 

正月丙火 三陽開泰 火氣漸炎 取壬爲尊 庚金佐之 壬庚兩透 科甲定然 卽壬透庚藏 亦有異道顯達

정월병화 삼양개태 화기점염 취임위존 경금좌지 임경량투 과갑정연 즉임투경장 역유이도현달

……

寅月丙火는 월중(月中)에서 丙火의 장생(長生)甲木의 건록(建祿)을 얻어 화기(火氣)가 점점 뜨거워지므로 壬水칠살을 취용하여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룰 때 존귀해진다. 그러나 월은 壬水가 병궁(病宮)에 드는 퇴기(退氣)이므로 庚金편재로 壬水칠살을 보좌해야 한다. 따라서 에서 壬水庚金이 모두 투출하면 과거에 급제하는 것은 당연하고, 壬水만 투출하고 庚金의 장간(藏干)으로 숨어 있어도 역시 과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벼슬을 할 수 있다.

 

若一庚高透 支藏一二丙火 納粟奏名 主爲人慷慨英雄 有才邁衆

약일경고투 지장일이병화 납속주명 주위인강개영웅 유재매중

……

寅月丙火 사주에서 庚金재성이 지지에 뿌리를 깊게 내리고 투출하여 신왕재왕(身旺財旺)한데, 한두 개의 병화가 장간(藏干)에 있으면 월령(月令)을 득장생(得長生)丙火일간이 장간을 득록(得祿)하여 균형이 丙火일간에게 기울면서 능히 庚金재성을 다스리므로 재물을 바쳐 명예를 얻고, 의롭지 못한 것에 분개하는 강건한 성정으로 영웅의 기질과 많은 사람을 다스리는 재능이 있다.

 

或一派庚辛混雜 常人 得時月兩透庚金 無辛者 定主淸貴 或辛年辛時 名爲貪合 酒色之徒 女命一理

혹일파경신혼잡 상인 득시월량투경금 무신자 정주청귀 혹신년신시 명위탐합 주색지도 여명일리

……

寅月丙火 사주에 한무리의 庚辛재성이 뒤섞이면 재성혼잡(財星混雜)이 되어 평범한 사람이다. 시간과 월간에 투출한 두 庚金을 얻고 辛金이 없으면 맑고 귀하다. 그러나 연간과 시간에 두 辛金이 투출하면, 丙火일간은 병신합(丙辛合)으로 辛金정재와의 합을 탐하여 주색(酒色)을 밝히는 자이고, 이는 여자도 마찬가지다.

 

或丙少壬多 而無戊制 名殺重身輕 斯人笑裏藏刀 尋非痞棍 或見一戊制壬 反成富貴 宜見一二比肩方妙

혹병소임다 이무무제 명살중신경 사인소리장도 심비비곤 혹견일무제임 반성부귀 의견일이비견방묘

……

寅月丙火 사주에 丙火는 적고 壬水칠살이 많은데 壬水를 제살(制殺)하는 戊土식신이 없으면 이름하여 살중신경(殺重身輕)이 되어 겉으로는 미소를 짓지만 속으로는 칼을 감추고 있으며 난폭하다. 그러나 한 개의 戊土가 있어 壬水를 제극하면 반대로 부귀를 이루는데, 이 때는 한두 개의 비견을 봐야 좋다.

 

或一片戊土 甲不出干 終非大器 且恐孤貧 正月之丙 忌戊晦光 或支成火局 耑取壬水爲貴 無壬 癸亦姑用 若壬癸俱無 取戊以洩火氣 但屬平人

혹일편무토 갑불출간 종비대기 차공고빈 정월지병 기무회광 혹지성화국 단취임수위귀 무임 계역고용 약임계구무 취무이설화기 단속평인

……

寅月丙火 사주에 戊土식신이 1개 있을 때 甲木편인이 투출하지 않으면 큰 인물이 될 수 없고, 고독하고 가난한 삶을 염려한다. 寅月丙火戊土식신의 설기로 어두워지는 것을 꺼린다. 혹 지지가 화국(火局)이면 오로지 壬水를 써야 귀격(貴格)이 되고, 壬水가 없으면 癸水로 대신할 수 있으며, 壬水도 없고 癸水도 없어 戊土식신의 설기를 취하면 평범한 사람에 불과하다.

 

或支成火局 又作炎上而推 但不逢時耳 若不見東南世運 反致孤貧

혹지성화국 우작염상이추 단불봉시이 약불견동남세운 반치고빈

……

寅月丙火 사주의 지지에서 화국(火局)을 이루면 염상격(炎上格)으로 추론하는데, 월은 巳午월과 달리 가 전왕(專旺)한 시기가 아니므로 세운(歲運)에서 동남의 木火 양난지(陽暖地)를 만나지 못하면 오히려 고독하고 가난하다.

 

或四柱有甲木 得庚金暗制 可作秀才

혹사주유갑목 득경금암제 가작수재

……

寅月丙火 사주에 甲木편인이 있을 때 庚金편재를 얻어 암암리에 甲木을 제극하면 수재(秀才) , 뛰어난 선비는 될 수 있다.

 

無壬用癸者 略富貴 且官殺亦要旺相有根 丙火無壬 多主貧賤 屢徵屢驗

무임용계자 약부귀 차관살역요왕상유근 병화무임 다주빈천 누징루험

……

寅月丙火 사주에 壬水가 없어 癸水를 사용하면 약간 부귀하는 정도이다. 그러므로 壬癸관살 역시 뿌리가 있고 왕상(旺相)하여야 하며, 丙火壬水가 없으면 빈천한 사주가 많다는 것은 여러 번 경험한 것이다.

 

或火多無水 一至水鄕必死 不然 定有災咎 惟五月丙火 合炎上格 則不喜水破格 用癸無根 定主目疾

혹화다무수 일지수향필사 불연 정유재구 유오월병화 합염상격 즉불희수파격 용계무근 정주목질

……

寅月丙火 사주에 가 많고 가 없으면 운에 이르러서는 왕성한 를 발동시키는 왕신노발(旺神怒發)로 화극금(火剋金) , 육신(肉身)재성을 쳐서 반드시 죽거나 재앙이 있다. 五月(午月)丙火가 염상격(炎上格)과 부합할 경우 로 인해 파격(破格)이 되는 것을 꺼리고, 癸水를 쓰는데 癸水의 뿌리가 없으면 눈에 질병이 생긴다.

 

用壬者 金妻水子 用庚者 土妻金子

용임자 금처수자 용경자 토처금자

……

寅月丙火壬水를 쓰면 이 처이고 가 자식이며, 庚金을 쓰면 가 처이고 이 자식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