卯月丙火
양기가 점점 상승하는 卯월에 택묘(宅墓)에서 卯木인수를 득지한 丙火일간이 신왕(身旺)하여 능히 土金水식재관을 취할 수 있다.
연간 戊土식신은 일간과 떨어져 무정(無情)하고 병궁(病宮) 申에 임하여 무력(無力)하다. 시간 辛金정재는 첩신(貼身)하여 丙火일간과 유정(有情)하나 태궁(胎宮) 卯에 임하여 병신합화수(丙辛合化水)의 종화격(從化格)으로 이끌기에는 월지 卯가 화신(化神) 水의 사궁(死宮)이 되어 불발하고, 일지 子水정관은 水의 퇴기(退氣)인 卯월에 자묘형(子卯刑)으로 깨져 무력하다.
즉, 丙火일간이 취할 土金水식재관이 모두 마땅치 않고 대운도 초중년 남방화지(南方火地)로 행하면서 木火인비의 양기는 더욱 편고(偏枯)해지고 金水재관의 음기는 더욱 고갈되는 유병무약(有丙無藥), 음양미제(陰陽未濟)의 패격(敗格)이다.
명주는 戊午운에 이혼하고, 2004(甲申)년부터 이혼녀와 동거 중이다.
월시지 택묘를 득령(得令), 득시(得時)한 乙木인수가 무거워 金재성을 취용하는 인중용재격(印重用財格)으로서 시간 편인궁과 연지 정인궁에 각각 용신(用神)이며 처성(妻星)인 辛金정재와 申金편재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금극목(金剋木)으로 탐재괴인(貪財壞印)이며, 정재궁이며 처궁(妻宮)인 일지에 子水정관이 있어 금생수(金生水)로 손실(損失) 상태이며, 이마저 자묘형(子卯刑)으로 파궁(破宮)이다.
또한 일주 丙子를 기준으로 연지 申金편재가 공망(空亡)이 되어 용신이자 처이며, 재물인 金재성이 무정하고 무력하여 처복(妻福)과 재복(財福)을 기대하기 어렵다.
명주의 심리 흐름을 볼 때 丙火일간이 먼저 일지 子水정관으로 진입(進入)하여 2차로 子水정관의 자리인 월지로 도입(跳入)하면 월주 乙卯 기준으로 子水정관이 공망인 일주 자좌공망(自坐空亡)이 되어 丙火일간이 자신의 자리를 비우고 정관으로 도입할 수 없으므로 정관이 이끄는 명예, 인내, 헌신의 속성과는 거리가 멀다. 즉, 원만한 부부 관계를 위해 인내하고 헌신하며 명예를 중시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탁한 팔자이다.
이혼한 戊午운은 일지 처궁이 자오충(子午沖)으로 파궁(破宮)되고, 이혼녀와 동거하는 甲申년은 일지 처궁에 처첩인 申金재성이 신자합(申子合)으로 견인(牽引)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