卯月丙火
卯月丙火
二月丙火 陽氣舒升 耑用壬水 壬透天干 不見丁化 加以庚辛已亦透 壬水有根 定主科甲 或無壬水 己土姑用 主有才學 雖不能成名 必衣食充足
이월병화 양기서승 단용임수 임투천간 불견정화 가이경신이역투 임수유근 정주과갑 혹무임수 기토고용 주유재학 수불능성명 필의식충족
……
卯月丙火는 양기가 점점 상승하는 시기에 있으므로 오직 壬水칠살을 쓴다. 壬水가 천간에 투출하고 壬水를 정임합(丁壬合)으로 기반(羈絆)하는 丁火가 없으며 수원(水源)인 庚辛 金재성이 투출하고 壬水가 지지에 통근(通根)하면 명주(命主)가 과거에 급제하는 것은 정해졌다. 혹 壬水가 없어서 己土상관을 사용하면 화토상관(火土傷官)으로서 설기정영(洩其精英)하여 명주는 학식과 재주가 있으며, 비록 壬水로써 수화기제(水火旣濟)를 이루는 것과 같은 공명은 이루지 못하지만 상관생재(傷官生財)를 이루어 반드시 의식은 풍족하다.
或一派壬水 見一戊制 雖不科甲 亦有恩庇 或無戊透 則有辰戌丑未之戊 但辰宮癸水 貪合成火 不能制壬 此平常衣祿 若支下全無一戊 此係奔流之人 加以金多生水 下賤之命
혹일파임수 견일무제 수불과갑 역유은비 혹무무투 즉유진술축미지무 단진궁계수 탐합성화 불능제임 차평상의록 약지하전무일무 차계분류지인 가이금다생수 하천지명
……
卯月丙火 사주에 한 무리의 壬水칠살이 있고 이를 제살(制殺)하는 戊土식신이 있으면 비록 과거 급제는 못해도 여전히 부모의 음덕이 있다. 혹 투출한 戊土가 없으면 辰戌丑未의 지장간(支藏干) 戊土를 쓴다. 단, 辰土는 辰 중의 戊土와 癸水가 무계화(戊癸火)의 합을 탐하며 기반(羈絆)되어 壬水를 제극하지 못하므로 평범한 정도의 의식과 봉록이 있을 뿐이다. 만약, 지장간에도 戊土가 전혀 없으면 壬水를 전혀 제극하지 못하여 자리를 잡지 못하고 떠도는 사람이고, 水를 생하는 金까지 가세하면 칠살이 무리를 짓는 하천한 명이다.
或一派戊土 亦用壬水 運喜行木 見土不祥 行火亦不利
혹일파무토 역용임수 운희행목 견토불상 행화역불리
……
卯月丙火 사주에 한 무리의 戊土식신이 있을 때 壬水칠살을 용신(用神)으로 할 때 화살(化殺)하는 木인수운으로 가는 것이 좋고, 한 무리의 戊土식신의 제살태과(制殺太過)를 우려하는 土운은 상서롭지 못하고, 火운 역시 불리하다.
或丙子日辛卯時 乃從化格 但不逢時 貪財壞印 難招祖業 若得一二重丁火破辛 壬水得位 亦主富貴 雖不科甲 亦有異途 名傳郡邑 合此格 主妻妾多子
혹병자일신묘시 내종화격 단불봉시 탐재괴인 난초조업 약득일이중정화파산 임수득위 역주부귀 수불과갑 역유이도 명전군읍 합차격 주처첩다자
……
卯月丙火 사주의 일시가 丙子日 辛卯時이면 병신합화수(丙辛合化水)의 종화격(從化格)이 되지만, 寅월은 화신(化神) 水의 퇴기(退氣)로서 때를 만나지 못해 辛金재성을 인화(引化)하지 못하고 재성이 재물을 탐하여 木인수를 파괴하는 탐재괴인(貪財壞印)이 되면 가업을 이어가기 어렵다. 만약, 한두 개의 丁火겁재가 있어 辛金재성을 극파(剋破)하고, 壬水가 자리를 얻으면 반드시 부귀하고, 비록 과거 급제는 못하더라도 다른 방법으로 벼슬을 하여 주변의 군과 읍에 이름을 알리고, 처첩과 자식이 많다.
或月時見二辛卯 日乃丙子 名爲爭合 年不透丁制辛 此人昏迷酒色 年透丁火 反吉 或支成木局 反因奸得財 因酒得名
혹월시견이신묘 일내병자 명위쟁합 연불투정제신 차인혼미주색 연투정화 반길 혹지성목국 반인간득재 인주득명
……
卯月丙火 사주의 월주와 시주가 辛卯이고 일주가 丙子이면 소위 丙火일간을 끼고 있는 월간과 시간의 두 辛金이 합을 다투는 쟁합(爭合)이 된다. 이때는 연간에 辛金재성을 제극하는 丁火겁재가 투출하지 않으면 명주는 주색에 빠져 방탕하게 되고, 연간에 丁火가 투출하면 반대로 길하게 된다. 혹 지지에서 木인수국을 이루면 탐재괴인(貪財壞印)이 되어 간교한 수단으로 재물을 취하고 주색으로 이름을 알린다.
凡用壬者 金妻水子 用壬者 財爲妻 官殺爲子
범용임자 금처수자 용임자 재위처 관살위자
……
무릇 卯月丙火 사주에서 壬水를 취용(取用)하면 金을 처로 삼고 水를 자식으로 삼으니 재성은 처이고 관살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