丑月乙木
丑月乙木
十二月乙木 木寒宜丙 有寒谷回春之象 得一丙透 無癸出破格 不特科甲 正主名臣顯宦 丙火藏支 食餼而已 干支無丙 一介寒儒
십이월을목 목한의병 유한곡회춘지상 득일병투 무계출파격 불특과갑 정주명신현환 병화장지 식희이이 간지무병 일개한유
……
丑月乙木은 木이 차갑게 얼어붙으므로 丙火를 쓰는 것이 당연하니, 엄동설한의 계곡에 봄이 돌아오는 형상이다. 태양 丙火가 투출하고, 햇볕을 가리는 먹구름 癸水가 투출하여 격을 해치지 않으면 과거에 급제할 뿐만 아니라 훌륭한 신하가 되어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지만, 丙火가 투출하지 못하고 장간(藏干)에만 있으면 먹고살 만한 의식과 봉록이 있지만, 간지 어디에도 丙火가 없으면 한낱 배고운 선비일 뿐이다.
或四柱多己 不逢比劫 乃爲從財 富比王侯 若見比劫 貧無立錐 或一派戊己 見甲頗有衣祿 耑以丙火爲用 方妙
혹사주다기 불봉비겁 내위종재 부비왕후 약견비겁 빈무립추 혹일파무기 견갑파유의록 단이병화위용 방묘
……
丑月乙木 사주에 己土편재가 많은데 이를 제어하는 木비겁이 없으면 종재격(從財格)이 되어 따르는 재성이 가져다주는 부(富)가 왕과 제후에 못지 않다. 만약 비겁이 있으면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어 바늘 꽂을 땅도 없을 정도로 가난하다. 丑月乙木 사주에 한 무리의 戊己土재성이 있고 甲木겁재가 있으면 재다용겁(財多用劫), 신왕재왕(身旺財旺), 득비리재(得比理財)로 적잖은 의식과 봉록이 있지만, 엄동설한의 추위를 해결하며 설신생재(洩身生財)로 乙木일간의 빼어난 기운을 유통시키는 丙火가 있어야 비로소 묘해진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