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月乙木

 子月乙木

十一月乙木 花木寒凍 一陽來復 喜用丙火解凍 則花木有向陽之意 不宜用癸以凍花木 故耑用丙火

십일월을목 화목한동 일양래복 희용병화해동 즉화목유향양지의 불의용계이동화목 고단용병화

……

子月乙木은 한겨울에 꽃나무가 차갑게 얼어 있는 형국이지만, 월은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는 시기이므로 丙火를 사용하여 언 것을 녹이는 것을 기뻐한다. 즉 꽃나무가 햇볕을 받으려는 의지가 강하므로 얼어 있는 꽃나무에 癸水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오로지 丙火만 사용한다.

 

有一二點丙火出干 無癸制者 可許科甲 卽丙藏支內 亦有選拔恩封 得此不貴 必因風水薄 或壬癸出干 有戊制 可作能人 卽丙在支內 亦是俊秀 若壬透無戊 貧賤之人

유일이점병화출간 무계제자 가허과갑 즉병장지내 역유선발은봉 득차부귀필인풍수박 혹임계출간 유무제 가작능인 즉병재지내 역시준수 약임투무무 빈천지인

……

子月乙木 사주의 천간에 丙火가 한두 개 투출하고 癸水가 없으면 과거에 급제할 수 있다. 丙火가 투출하지 않고 지장간(支藏干)에 있어도 선발되어 왕의 봉직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갖추었음에도 귀하게 되지 못하면 이는 풍수(風水)에서 받쳐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 천간에 壬癸水가 투출하였어도 이를 제극하는 戊土가 있으면 유능한 사람이 될 수 있으며, 丙火가 지장간에만 있어도 준수하다. 만약 壬水가 투출하고 戊土가 없으면 유병무약(有丙無藥)의 팔자가 되어 빈천하다.

 

支成水局 干透壬癸 丙丁全無 雖有戊制 貧乏到老 運至南方 稍有衣食 丁火有亦如無 丁乃燈燭之火 豈能解嚴寒之凍 設無丙丁 戊己多見 金水奔流 下賤 或有戊己無火 亦屬常人 但不至下賤 或一派丁火 大奸大詐之徒 如無甲引丁 孤鰥到老 丁火見甲 必主麟趾振振 芝蘭繞膝

지성수국 간투임계 병정전무 수유무제 빈핍도로 운지남방 초유의식 정화유역여무 정내등촉지화 기능해엄한지동 설무병정 무기다견 금수분류 하천 혹유무기무화 역속상인 단부지하천 혹일파정화 대간대사지도 여무갑인정 고환도로 정화견갑 필주린지진진 지란요슬

……

子月乙木 사주의 지지가 인수국이고 천간에 壬癸水가 투출하였는데 丙丁火가 전혀 없으면, 비록 戊土가 있어 壬癸水를 제극해도 늙도록 가난뱅이 빈털터리이고, 남방운을 만나면 약간의 의식이 있는 정도이다. 丁火는 있어도 없는 것과 같은데 등불인 丁火로는 엄동설한의 추위를 녹일 수 없기 때문이다. 丙丁火는 없이 戊己土가 많고 金水가 왕성하면 신분이 낮고 천하다. 만약 戊己土가 있으면 가 없어도 (金水가 왕성하지 않으면) 역시 평범한 사람으로서 신분이 낮고 천한 상황까지는 이르지 않는다. 혹 한 무리의 丁火가 있어 丙火의 역량에 버금간다고 해도 음화(陰火)로서 매우 간사하고 간교한 무리이다. 乙木丁火의 입장에서도 乙木丁火를 생하여 밝히는 고초인등(枯草引燈)보다는 甲木丁火를 생하고 乙木甲木에 의지하여 등라계갑(藤蘿繫甲)하는 것이 좋다. 만약 子月乙木 사주에서 甲木丁火를 이끌지 못하면 늙도록 외로운 홀아비이고, 丁火甲木의 덕을 보면 명주는 덕망을 널리 떨치며 슬하에 자손이 번창한다.

 

或成水局 壬癸兩逢 則木浮矣 不特貧賤 而且夭折 得一戊救方可

혹성수국 임계량봉 즉목부의 불특빈천 이차요절 득일무구방가

……

子月乙木 사주의 지지가 수국(水局)이고 壬水癸水가 모두 투출하면 乙木이 물에 뜨게 되므로 빈천하고 요절하지만, 한 개의 戊土를 얻어 를 제어할 수 있으면 구제 받을 수 있다.

 

冬月乙木 雖取戊制水 不可作用 耑取丙火則可 用火者 木妻火子 用土者 火妻土者

동월을목 수취무제수 불가작용 단취병화즉가 용화자 목처화자 용토자 화처토자

……

북방의 겨울 乙木은 비록 戊土를 취해서 를 제어할 수 있지만, 차고 습해져서 역량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오로지 丙火로 따뜻하게 戊土를 북돋을 때 가능하다. 를 용신으로 하면 을 처로 삼고 를 자식으로 삼으며, 를 용신으로 하면 를 처로 삼고 를 자식으로 삼는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