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秋乙木
三秋乙木
三秋乙木 金神司令 先丙後癸 惟九月耑用癸水 恐丙暖戊土爲病也
삼추을목 금신사령 선병후계 유구월단용계수 공병난무토위병야
……
가을에 태어난 乙木은 차가운 金관살이 월령을 잡고 있으므로 따뜻한 丙火상관으로 제관살(制官殺) 즉, 金관살을 억제하는 것이 우선이고, 癸水편인으로 화관살(化官殺) 즉, 金관살을 인화(引化)하여 관인상생(官印相生)하는 것은 다음이다. 단, 구월(九月, 戌月)의 乙木은 흙과 나무가 메마르므로 오로지 癸水만 쓰는데, 이는 丙火가 메마른 戊土를 뜨겁게 하여 병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七月乙木 庚金乘令 庚雖輸情於乙妹 怎奈干乙難合支金 柱見庚多 乙難受載 或丙透干 又加己出埋金 此格可云科甲 有己透 加丙 亦是上命 七月喜己土爲用 或不見丙癸 己土決不可少 此則以火爲妻 土爲子
칠월을목 경금승령 경수수정어을매 즘내간을난합지금 주견경다 을난수재 혹병투간 우가기출매금 차격가운과갑 유기투 가병 역시상명 칠월희기토위용 혹불견병계 기토결불가소 차즉이화위처 토위자
……
칠월(申月, 七月)의 乙木은 庚金정관이 월령을 잡고 있다. 庚金이 비록 누이 乙木에게 정을 주더라도 천간의 乙木과 지지의 庚金이 합을 이룰 수 없는 것을 어찌하랴. 사주에 庚金이 많으면 乙木은 庚金들이 합하려는 정을 모두 받기 어렵다. 혹 丙火가 천간에 투출하여 조후(調候)하며 庚金을 억제하고, 더하여 己土까지 투출하여 丙火의 도움을 받으며 庚金을 묻으면 과거에 급제하는 사주라고 할 수 있다. 己土가 투출해 있고 丙火가 화생토(火生土)로 가세하면 역시 상격의 사주다. 칠월의 乙木은 己土를 쓰는 것을 좋아한다. 혹 丙火와 癸水가 없더라도 己土는 결코 적어서는 안되며, 이 경우는 火가 처이고 土가 자식이다.
或癸透 丙藏 庚少 此不用己 可許貢拔 無丙 有癸透者 不失刀筆門戶 有支下庚多 癸又藏者 無丙癸二神 平常人物
혹계투 병장 경소 차불용기 가허공발 무병 유계투자 불실도필문호 유지하경다 계우장자 무병계이신 평상인물
……
申月乙木 사주에서 癸水편인이 투출하고 丙火상관은 지장간에 있으며 庚金정관이 약하면, 己土편재를 쓰지 않더라도 공생(貢生: 지방에서 조정에 천거한 인재)에 선발될 수 있다. 丙火가 없고 癸水가 투출하면 배합이 적당치 않으므로 문서를 관리하는 낮은 직책의 관리 정도이다. 지장간에 庚金이 많고 癸水도 지장간에만 있으며, 丙火와 己土가 없으면 평범한 사람이다.
惑生辰時 此爲從化 反主富貴 凡化合格 皆以所生之神爲用 化金者 戊爲用神 特忌丙丁煆煉破格 從化者以火爲妻 土爲子 其餘以金爲妻 妻必賢美 以水爲子 子必剋肖 但忌刑沖 凡命皆然 不特此也
혹생진시 차위종화 반주부귀 범화합격 개이소생지신위용 화금자 반위용신 특기병정하련파격 종화자이화위미 토위자 기여이금위처 처필현미 이수위자 자필극초 단기형충 범명개연 불툭차지
……
乙木이 庚金이 사령(司令)하는 申월 庚辰에 태어나면 을종경금(乙從庚金)의 종화격(從化格)이 되어 도리어 乙木일간의 명주(命主)는 부귀하다. 무릇 합화격(合化格)은 화신(化神)을 생하는 기운을 용신(用神)으로 하므로 을경합화금(乙庚合化金)의 화금격(化金格)은 戊土를 용신으로 하고, 특히 왕성한 丙丁火가 화신(化神)인 金을 극하여 파격(破格)이 되는 것을 꺼린다. 을경합화금 종화격의 명주는 용신 土를 생하는 火를 처로 삼고, 土를 자식으로 삼는다. 그 외는 金을 처로 삼고 水를 자식으로 삼는데, 처는 지혜롭고 아름다우며 자식은 능력이 있고 어질다. 단, 무릇 모든 명(命)이 그렇듯이 합화격 역시 형충(刑沖)을 꺼리는데, 종화격이라고 해서 특별한 것은 아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