卯月乙木
此乃夾祿格 貴小富大 但子女多刑
차내협록격 귀소부대 단자녀다형
……
월지와 시지에 건록(建祿)인 卯木이 있고, 일지 丑과 월지 卯 사이에 연여(連茹)하는 寅木을 공협(控夾)하는 협록격(夾祿格)으로서 신왕(身旺)하다.
신왕사주는 식재관(食財官)을 취하고, 卯月乙木이 丙火상관과 癸水편인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관점에서 억강부약(抑强扶弱)에 따라 癸水편인보다 丙火상관을 우선 고려하는데, 투출한 丙火가 없으므로 연지 午 중 丁火식신로 대용(代用)하여 식신생재(食神生財)로 성격(成格)을 구한다.
신왕(身旺)하고, 일지 재물궁에 丑土재성이 조왕(趙王)하고 시간 己土편재가 첩신(貼身)한 시상편재격(時上偏財格)으로 丁火식신을 취용(取用)하고, 대운도 간지로 火土식재운이 일생을 관통하며 꾸준히 이어져 재물복은 타고났으나, 정작 용신 丁火가 투출하지 못한 채 乙木일간 및 己丑土재성과 떨어져 무정하고, 천간에 투출한 壬癸水가 용신 丁火를 피곤하게 하므로 귀하게 되지 못하고, 자녀에게도 형액이 많았다.
☞ 협록격(夾祿格): 예를 들어 甲木의 건록 寅이 지지에 없고 丑卯 사이에 협래(夾來)하는 경우로서 협록격이 이루어지면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① 甲일간: 丑卯 사이에 寅이 협래하는 경우.
② 乙일간: 寅辰 사이에 卯가 협래하는 경우.
③ 丙戊일간: 辰午 사이에 巳가 협래하는 경우.
④ 丁己일간: 巳未 사이에 午가 협래하는 경우.
⑤ 庚일간: 未酉 사이에 申이 협래하는 경우.
⑥ 辛일간: 申戌 사이에 酉가 협래하는 경우.
⑦ 壬일간: 戌子 사이에 亥가 협래하는 경우.
⑧ 癸일간: 亥丑 사이에 子가 협래하는 경우.
따라서 원문의 사주는 엄격한 의미에서 협록격이라고 볼 수 없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