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月乙木
未月乙木
六月乙木 木性且寒 柱多金水 丙火爲尊 支成水局 乙得無傷 癸水透干 大富大貴 無癸定作常人 過不行北 困苦一生
유월을목 목성차한 주다금수 병화위존 지성수국 을득무상 계수투간 대부대귀 무계정작상인 과불행북 곤고일생
……
6월(未月)의 乙木은 火가 물러나며 차가워지기 시작하는 계절에 있으므로 사주에 金水의 기운이 많으면 태양화인 丙火를 중요하게 여긴다. 지지가 水인수국이고 乙木의 손상 없이 癸水가 투출하면 부귀가 크다. 癸水가 투출하지 않으면 평범한 사람이다. 운이 북방 亥子丑으로 흐르지 않으면 평생 고달프다.
凡五六月乙木 氣退枯焦 用癸水切忌戊己雜亂 則爲下格 或甲木高透 制伏土神 名爲去濁留淸 可許俊秀 土多乏甲 秀氣脫空 庸人而已
범오륙월을목 기퇴고초 용계수절기무기잡란 즉위하격 혹갑목고투 제복토신 명위거탁류청 가허준수 토다핍갑 수기탈공 용인이이
……
무릇 오뉴월의 乙木은 木의 기운이 물러나면서 시들므로 木을 자양(滋養)하는 癸水를 취용하여 戊土와 己土가 혼잡되는 것을 극도로 피하게 되는데 하격(下格)이 되기 때문이다. 혹 甲木이 투출하여 土를 극거(剋去)하면 이른바 거탁류청(去濁留淸) 즉, 탁한 기운이 제거되고 맑은 기운만 남으므로 가히 준수해진다고 할 수 있겠으나, 土는 많은데 甲木이 부족하면 탁한 기운을 제거하지 못해 빼어난 기운이 헛되므로 평범한 사람일 뿐이다.
或丙癸兩透 加以甲透制戊 選拔定然 若不見丙癸 只有丁火 亦屬常人 有壬 可充衣食
혹병계양투 가이갑투제무 선발정연 약불견병계 지유정화 역속상인 유임 가충의식
……
6월의 乙木 사주에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출하고, 더하여 甲木이 투출하여 戊土를 극거(剋去)하면 과거에 급제하는 것은 당연하다. 만약 丙火와 癸水가 없이 丁火만 있으면 평범한 사람이지만, 壬水가 있으면 의식(衣食)은 충족한다.
或柱中無水 又無比劫出干 乃爲棄命從財 富大貴小 能招賢德之妻 從財格以火爲妻 土爲子
혹주중무수 우무비겁출간 내위기명종재 부대귀소 능초현덕지처 종재격이화위처 토위자
……
하토(夏土)인 未月乙木 사주에 乙木일간을 자양(滋養)하는 水가 없고 천간에 투출한 木비겁이 없으면 왕성한 土재성의 세력을 따르는 기명종재(棄命從財)가 되어 명예는 적더라도 재물은 많으며, 어질고 덕이 있는 아내를 얻는다. 종재격(從財格)은 土재성이 용신(用神)이므로 火가 처이고 土가 자식이다.
或一派戊土出干 不見比肩 名爲財多身弱 終爲富屋貧人
혹일파무토출간 불견비견 명위재다신약 종위부옥빈인
……
未月乙木 사주에 한 무리의 戊土가 투출하였는데 乙木비견이 없으면 이른바 재다신약(財多身弱)이 되어 부자 행세를 하는 가난한 사람이다.
或丙辛化水 嫖賭破家 終非承受之兒
혹병신화수 표도파가 종비승수지아
……
未月乙木 사주는 丙火가 필요한데 辛金이 있어 병신합화수(丙辛合化水) 즉, 필요한 丙火가 辛金과의 합을 탐해 水로 변하여 용신으로서의 역할을 저버리면 음란하고 도박으로 패가망신하여 물려받을 가업조차 없게 된다.
或一派乙木 不見丙癸 名爲亂臣無主 勞碌奔波 又加多支辛金 僧道之輩
혹일파을목 불견병계 명위란신무주 노록분파 우가다지신금 승도지배
……
未月乙木 사주에서 乙木이 무리를 이루었는데 丙火와 癸水가 없으면 역심을 품은 신하들이 마치 군주를 몰아낸 후 권력을 두고 아귀다툼을 하는 형상으로 고생과 파란이 심하고, 더하여 지지의 장간에서 여러 辛金이 가세하면 권세에서 밀려나 절간에 숨어들어 스님 행세를 하는 무리와 같다.
或一派甲木 無癸無丙 又無庚金 此人一生虛浮 總不誠實 有庚制甲 乃有謀之人 但嗜酒貪花 多慾敗德 不脩品行 男女一理
혹일파갑목 무계무병 우무경금 차인일생허부 총불성실 유경제갑 내유모지인 단기주탐화 다욕패덕 불수품행 남녀일리
……
未月乙木 사주에서 甲木이 무리를 이루고 癸水와 丙火가 없는데 庚金도 없으면 이 사람은 평생 떠도는 신세로서 성실하지 못하다. 庚金이 있어 甲木을 제극하면 계략을 꾸미고, 주색을 밝히고, 욕심이 많고, 품행이 단정치 않으며, 남녀 모두 같다.
總之夏月之乙木 耑用癸水 丙火酌用 庚辛次之
총지하월지을목 단용계수 병화작용 경신차지
……
여름 乙木을 정리하면 오직 癸水을 사용하고, 丙火는 참작하여 사용하며, 庚金과 辛金은 그 다음으로 사용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