辰月乙木
辰月乙木
三月乙木 陽氣愈熾 先癸後丙 癸丙兩透 不見己庚 玉堂之客 見己庚者 平常之人 或一乙逢庚 不見己者 亦主小富貴 但不顯達 或多水見己 只恐高才不第 見戊堪發異途 或庚己混雜 丙癸全 則爲下格 或見水局 丙戊高透 亦主科甲 或柱中全無丙戊 支合水局 此離鄕之命
삼월을목 양기유치 선계후병 계병량투 불견기경 옥당지객 견기경자 평상지인 혹일을봉경 불견기자 역주소부귀 단불현달 혹다수견기 지공고재부제 견무감발이도 혹경기혼잡 병계전 즉위하격 혹견수국 명무고투 역주과갑 혹주중전무병무 지합수국 차리향지명
……
삼월(辰月)의 乙木은 양기가 더욱 강해지므로 먼거 癸水를 쓰고 다음에 丙火를 쓴다. 癸水와 丙火가 모두 투출하고 己土와 庚金을 보지 않으면 귀하지만(玉堂之人), 己土와 庚金을 보면 평범한 사람이다(平常之人). 혹 한 개의 乙木이 庚金을 만나고 己土를 보지 않으면 약간의 부귀는 얻을 수 있으나(小富貴) 크게 이름을 떨치기는 어렵다(不顯達). 만약 水가 많고 己土가 있으면 재능이 많아도 과거 급제를 확신할 수 없고, 戊土가 있으면 다른 방법으로 벼슬을 한다. 혹 庚金과 己土가 혼잡하면 丙火와 癸水가 온전해도 하격(下格)이다. 혹 지지가 수국(水局)이고 천간에 丙火와 戊土가 투출하여 유력하면 戊土가 지수(止水)하여 범람을 막아 子 중의 癸水를 취할 수 있으므로 천부지재(天覆地載)로 상하가 유정하여 반드시 과거 급제한다. 혹 사주에 丙火와 戊土가 전혀 없이 지지가 수국(水局)이면 물이 범람하며 乙木일간이 부목(浮木)의 신세가 되어 고향을 떠나 객지를 떠돈다.
或見一派癸水 又有辛金 則作旺看 得一戊己制癸 亦可云小富貴 若一派壬水 不特貧賤 而且夭折 有一戊己 方云有壽 但終爲技術之人 又或庚辰時月 名二庚爭合 乃貧賤之輩 如年干見丁破庚 可云從化 亦不失武職之權
혹견일파계수 우유신금 즉작왕간 득일무기제계 역가운소부귀 약일파임수 불특빈천 이차요절 유일무기 방운유수 단종위기술지인 우혹경진시월 명이경쟁합 내빈천지배 여년간견정파경 가운종화 역불실무직지권
……
혹 한 무리의 癸水가 있고 더하여 辛金이 있으면 癸水가 왕성한 것으로 보고 水를 제어하는 戊土나 己土가 하나라도 있으면 약간의 부귀는 얻을 수 있다. 만약 한무리의 壬水를 보면 빈천할 뿐만 아니라 요절하지만 戊土나 己土가 하나라도 있으면 요절은 면하겠지만 결국은 기술자에 불과하다. 또한, 혹 乙木일간을 사이에 두고 庚辰시 庚辰월이면 두 庚金이 乙木일간을 두고 합을 다투는 빈천한 무리에 불과한데, 만약 연간에 丁火가 있어 월간 庚金을 극거(剋去)하면 시간 庚金이 乙木일간과의 을종경금(乙從庚金, 乙庚合化金)으로 종화(從化)하여 역시 무관의 권세를 잃지 않는다.
用癸者 金妻水子 癸多用丙者 木妻火子
용계자 금처수자 계다용병자 목처화자
……
辰月乙木이 癸水를 취용하면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며, 癸水가 많아서 丙火를 취용하면 木이 처이고 火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