寅月乙木
寅月乙木
正月乙木 必須用丙 因天氣尤有餘寒 非丙不暖 雖有癸水 恐凝寒氣 故以丙火爲先 癸水次之
정월을목 필수용병 인천기우유여한 비병불난 수유계수 공응한기 고이병화위선 계수차지
……
정월의 乙木은 아직 겨울의 추위가 남아 있으므로 반드시 丙火를 사용한다. 丙火가 아니면 추위를 녹일 수 없고, 비록 乙木을 자양하는 癸水가 있더라도 추위에 얼어붙는 것을 두려워하므로 丙火로 먼저 따뜻하게 한 다음에 癸水를 사용한다.
丙癸兩透 科甲定然 或有丙無癸 門戶闡揚 或丙多乏癸 名曰春旱 獨陽不長 濁富之人 或丙少癸多 又爲因丙 終爲寒士 或癸己多見 爲濕土之木 皆下格 用丙者 木妻火子 用癸水見火多者 金妻水子
병계량투 과갑정연 혹유병무계 문호천양 혹병다핍계 명왈춘한 독양부장 탁부지인 혹병소계다 우위인병 종위한사 혹계기다견 위습토지목 개하격 용병자 목처화자 용계수견화다자 금처수자
……
丙火와 癸水가 모두 투출하면 과거에 합격하는 것은 따논 당상이다. 혹시 丙火는 투출했는데 癸水가 없으면 가문의 명성을 널리 알릴 수 있지만, 丙火는 많고 癸水가 부족하면 봄가뭄이 들어 양기가 오래가지 못하므로 부정하게 재물을 모은 사람이다. 혹 丙火가 적고 癸水가 많으면 丙火가 곤란해지므로 가난한 선비에 지나지 않는다. 혹 癸水와 己土가 많으면 丙火가 빛을 잃어 음습한 땅에 뿌리를 내린 초목이 되어 모두 하격(下格)이다. 丙火를 취용하면 木이 처이고 火가 자식이고, 불기운이 많아 癸水를 취용하면 金이 처이고 水가 자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