亥月甲木

 亥月甲木

 

十月甲木 庚丁爲要 丙火次之 忌壬水泛身 須戊土制之 若庚丁兩透 又加戊出干 名曰去濁留淸 富貴之極 卽乏丁火 亦稍有富貴 或甲多制戊 庚金無根 平常人也 庚戊若透 雖出比劫 必定富而壽

시월갑목 경정위요 병화차지 기임수범신 수무토제지 약경정양투 우가무출간 명왈거탁류청 부귀지극 즉핍정화 역초유부귀 혹갑다제무 경금무근 평상인야 경무약투 수출비겁 필정부이수

……

시월(十月, 亥月)甲木은 강한 甲木을 다듬는 庚金칠살과 庚金을 단련하는 丁火상관을 중요하게 쓰고 다음은 조후(調候)하는 丙火식신이다. 壬水인수가 범람하여 甲木이 물에 뜨는 수범목부(水泛木浮)를 꺼리므로 반드시 戊土편재로 壬水편인을 제극해야 한다. 만약, 庚金丁火가 투출하고 戊土까지 투출하면 이른바 탁한 기운은 제거되고 맑은 기운만 남은 거탁류청(去濁留淸)이 되어 지극히 부귀하다. 丁火가 적으면 부귀가 작다. , 甲木이 많아 戊土를 제극하는 군비쟁재(群比爭財)가 되면 庚金의 생을 받지 못하고 뿌리를 내리지 못하므로 평범한 사람이다. 만약, 庚金戊土가 투출하면 비록 비겁이 투출하더라도 반드시 부를 누리며 장수한다.

 

或多比劫 只一庚出干 坐祿逢生 乃爲捨丁從庚 略富貴 或支見申亥 戊己得所 以救庚丁 可許科甲 若單己透 其力弱小 不過貢監而已 用庚 土妻金子 用丁 木妻火子

혹다비겁 지일경출간 좌록봉생 내위사정종경 약부귀 혹지견신해 무기득소 이구경정 가허과갑 약단기투 기력약소 불과공감이이 용경 토처금자 용정 목처화자

……

시월(十月, 亥月)甲木비겁이 많은데 庚金칠살이 하나만 투출하면 실령(失令)庚金이 강한 甲木을 다듬지 못하므로 庚金이 건록(建祿) 위에 임하거나 재성의 생을 만나야 하므로 부득이 庚金을 제극하는 丁火를 버리고 庚金을 좇아야 작은 부귀라도 누릴 수 있다. 만약 亥月甲木이 지지에서 申金亥水를 얻고, 戊己土가 자리를 잡아 를 제어하면 庚金칠살과 丁火상관을 쓸 수 있으므로 과거에 급제하여 공명을 구할 수 있다. 만약 습한 己土 하나만 투출하면 丁火를 어둡게 하고 를 제어하는 능력이 미약하므로 재물을 바쳐 작은 벼슬(貢監: 곡식이나 재물을 내고 국자감의 생원이 되는 것)을 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亥月甲木庚金을 취용하면 가 처이고 이 자식이며, 丁火를 취용하면 이 처이고 가 자식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