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月甲木

 


庚金得祿 官至尙書

경금득록 관지상서

……

월은 가 물러나면서 가을의 월을 목전에 두고 차가운 기운이 이는 늦여름으로서 연지 申金을 생하고, 중의 壬水는 메마른 戌未 조토(燥土)를 자윤(滋潤)하여 생금(生金)을 돕고, 중의 辛金정관이 월상에 투출하여 재관(財官)이 유력하다. 또한, 일시지에서 ()의 삼합의 午火를 공협(控夾)하여 화국(火局)을 이루고, 寅木을 원신(源神)으로 시상에 丙火식신이 투출하여 戌未 중의 丁火상관과 함께 식상(食傷)이 유력하다.

火土金 식재관(食財官)의 설기가 유력한 신약사주(身弱四柱)로서 연지 중의 庚金壬水의 관인(官印)을 희용(喜用)하고, 대운이 金水로 아름답게 흘러 벼슬이 상서(尙書)에 이르렀다.

 

이 사주는 명나라에서 상서를 지낸 최임수의 명으로 흉사하였다고 전해지는데, 용신 중의 壬水가 간투(干透)하지 못한 채 월지 중의 丁火와 정임합(丁壬合)으로 얽매이고, 희신(喜神) 辛金甲木일간을 사이에 두고 시간 丙火가 병신합(丙辛合)을 탐하고 있어 원명(原命)에서 이미 金水 희용신의 운신이 제한을 받고 있는데, 혹 운에서 다시 丙火를 만나 辛金을 완전히 합으로 얽어매어 기반(羈絆, 合去)하면 희용신이 모두 무력해지는 흉화(凶禍)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진상관(眞傷官)인 사주가 식상운을 가장 꺼리는 것과 같다. 명리정종(命理正宗)에서는 상관론(傷官論)에서 가상관(假傷官)이 인수운으로 가면 필사(必死)하고, 진상관(眞傷官)이 식상운으로 가면 필멸(必滅)한다.”고 언급하였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卯月庚金

卯月庚金

三冬丁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