辰月甲木
辰月甲木
三月甲木 木氣相竭 先取庚金 次用壬水 庚壬兩透 一榜堪圖 但要運用相生 風水陰德 方許富貴 或見一二庚金 獨取壬水 壬透淸秀之人 才學必富
삼월갑목 목기상갈 선취경금 차용임수 경임양투 일방감도 단요운용상생 풍수음덕 방허부귀 혹견일이경금 독취임수 임투청수지인 재학필부
……
삼월(三月, 辰月, 季春)의 甲木은 木의 기운이 다해가므로 먼저 수원(水源)으로 庚金을 취하고, 다음으로 壬水를 쓴다. 庚金과 壬水가 모두 투출하면 공명을 이룰 수 있다. 단, 운에서 도와야 하고, 풍수의 음덕이 있어야 부귀한다. 만약, 辰月甲木에 한두 개의 庚金칠살이 있으면 오로지 壬水식신을 취하여 화살생신(化殺生身)하면 맑고 빼어난 위인이며, 재주와 학식이 풍부하다.
或天干透出二丙 庚藏支下 此鈍斧無鋼 富貴難求 若有壬癸破火 堪作秀才
혹천간투출이병 경장지하 차둔부무강 부귀난구 약유임계파화 감작수재
……
혹, 辰月甲木 사주의 천간에 두 개의 丙火식신이 투출하고 庚金칠살이 지장간에만 있으면 제살태과(制殺太過)로 庚金의 예리한 강한 도끼날이 무뎌지며 무력하므로 부귀를 구하기 어렵다. 만약, 庚金을 무력하게 하는 불기운을 꺼주는 壬癸水가 있더라도 공부하는 학생(秀才, 生員)에 지나지 않는다.
或柱中全無一水 戊己透干 支成土局 又作棄命從財 因人而致富貴 妻子有能
혹주중전무일수 무기투간 지성토국 우작기명종재 인인이치부귀 처자유능
……
혹, 辰月甲木 사주에 水인수가 전혀 없고, 戊己土재성이 천간에 투출하고, 지지가 토국(土局)이면 辰월의 甲木일간이 土재성을 따르는 기명종재(棄命從財)의 형국이 되어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부귀를 취할 뿐만 아니라 처자식도 유능하다.
或見戊己 及比劫多者 名爲雜氣奪財 此人勞碌到老 無馭內之權 女命合此 女掌男權 賢能內助 若比劫重見 淫惡不堪
혹견무기 급비겁다자 명위잡기탈재 차인로록도로 무어내지권 여명합차 여장남권 현능내조 약비겁중견 음악불감
……
혹, 辰月甲木 사주에 재성인 戊己土가 있고 木비겁이 많으면 재물을 놓고 다투는 잡기탈재(雜氣奪財) 또는 군겁쟁재(群劫爭財)의 형국이 되어 남자는 늙도록 고생하며 무능한 가장이고, 여자도 마찬가지로 늙도록 고생하면서 남편 대신 가장의 역할을 하며 어질고 능력있게 남편을 내조하지만, 만약 비겁을 거듭 보게 되면 극도로 음란하고 악해진다.
或支成金局 方可用丁 不然 三月無用丁之法 惟有先庚後壬取用
혹지성금국 방가용정 불연 삼월무용정지법 유유선경후임취용
……
혹, 辰月甲木 사주의 지지가 금국(金局)으로 金관살의 기운이 강할 때는 丁火상관을 용신으로 쓸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丁火를 쓰지 않는다. 辰月甲木은 용신으로 먼저 庚金칠살을 취하고, 庚金을 수원(水源)으로 하는 壬水인수를 취하여 木의 기운이 약해져가는 辰월의 甲木을 돕는다.
書曰 甲乙生寅卯 庚辛干上逢 離南推富貴 坎地却爲凶
서왈 갑을생인묘 경신간상봉 이남추부귀 감지각위흉
……
책에서 이르기를, 寅卯월에 태어난 일간 甲乙木이 천간에서 庚辛金관살을 만나면, 춘목(春木)은 생목(生木)으로서 벌목(伐木)하는 金관살을 매우 꺼리므로 이를 제극하는 남방운의 火식상을 만나면 부귀하고, 불기운을 끄는 북방운의 水인수를 만나면 흉하다고 하였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