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月甲木
支成水局 困了丁火 雖主富貴 乏子
지성수국 곤료정화 수주부귀 핍자
……
未월은 火가 물러나는 때이므로 丁火를 먼저 취용하고 庚金칠살과 癸水정인으로 보조하는데, 지지에서 申子辰 삼합의 반수국(半水局)과 이를 득지한 癸水로부터 未中丁火가 핍박을 받으므로 부귀하였어도 자식이 없었다는 궁통보감(窮通寶鑑)의 관점이다.
未土재성의 달이 巳(午)未 남방을 유취하고, 시에 戊辰土가 친림(親臨)하여 火土식재가 유력하고, 역시 연월에 월지 未와 시지 辰의 택묘(宅墓)에서 癸水인수와 乙木겁재가 투출하여 水木인비도 유력하여 거의 중화를 이룬 중에 택묘의 본기(本氣)인 土재성으로 기우는 재다신약(財多身弱)이며, 대운이 일찍 金水의 기운이 운간으로 제래(齊來)하고, 이후 동북의 木비겁과 水인수로 흘러 능히 득비리재(得比理財)로 부귀한다.
즉, 재다신약의 재격패인(財格佩印)을 취용하는 사주로서 용신인 癸水인수가 월간 식신궁(食神宮)에서 성극궁(星剋宮)으로 손실(損失) 상태에서 未土 살지(殺地)에 임하고, 癸水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子水인수는 일지 재성궁(財星宮)에서 궁극성(宮剋星)으로 파성(破星)이며, 상관궁(傷官宮)이며 자식궁(子息宮)인 시지의 辰은 水의 묘고(墓庫)로서 癸水인수가 입묘(入墓)하여 팔자에서 자식의 상황이 좋지 않다.
댓글
댓글 쓰기